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콤달콤
연구원
의 비법노트] 모으고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3회에 걸쳐 소개한 ‘두 번 받아올림, 받아내림’ 시리즈가 드디어 끝이 났어요. 서울교대 초등수학 연구팀에 따르면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잘 하는 비법은 ‘수 모으고 가르기’ 활동이에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지금 바로 알려드릴게요. 많은 친구가 왼쪽 뺄셈이 더 쉽다고 생각할 거예요.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03마리의 외래종 거북을 잡았어요. 이전 포획장치보다 약 3.5배나 늘어난 수치였죠.구교성
연구원
은 “외래종 거북은 우리나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도 아직 종이나 개체 수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며 “앞으로 국내 민물 거북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 밝혔답니다. “여러분이 사는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유학 생활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3월부터 서울대학교에서 수리과학분야 박사후
연구원
으로 지내게 됐어요. 제가 좋아하는 파이데이를 한국에서 보낼 수 있어서 더 기쁘네요. 제가 연구하는 군론도 파이데이에 빠질 수 없겠죠? 대칭을 연구하는 군론과 원의 관계를 함께 알아봅시다 ... ...
[한페이지 뉴스] 냄새조차 흘리지 않는 늑대의 사냥법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바람과 맞서는 장소에 몸을 숨긴 것이다.이번 연구를 이끈 토마스 게이블 미네소타대
연구원
은 “늑대는 먹잇감을 쫓고 덮치는 전략으로만 사냥한다고 알려졌는데 이번에 최초로 늑대의 매복 사냥법을 체계적으로 알아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행동생태학’ 2월 9일자에 실렸다. ... ...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때가 개별적으로 이동할 때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적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
은 “캘리포니아 검은벌레의 움직임을 모방하면 로봇끼리 의사소통 없이도 군집을 이뤄 움직이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월 9일자에 실렸다. doi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론을 연구하고 실험하는 이유는 블랙홀을 이해하는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손 책임
연구원
은 “블랙홀의 사건지평선은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이론이 만나는 아주 특별한 지점인 만큼 두 이론의 결합을 꿈꾸는 연구자들에게는 관심의 대상”이라며 “블랙홀 연구를 통해 당장 에너지를 추출하는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중 하나다. 황새가 살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건강한 생태계가 조성돼 있다는 증거다. 하
연구원
은 “사람의 활동이 황새의 터전을 만든다”라며 “황새복원을 위한 노력은 사람이 자연과 함께 공생하는 법을 배우는 중요한 훈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
연구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따뜻한 바람을 타고 풍겨오는 내음부터, 알록달록 꽃잎까지. 봄을 맞아 만발하는 꽃을 보고 있자면 감동마저 느껴진다. 하지만 만약 세상에 모든 꽃이 똑같다면 이렇게까지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2월 8일 경기 고양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지금까지 없는 새로운 장미를 만들고 있는 허문선 화훼연구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단백체 지도 연구다.2014년 미국 존스홉킨스대 맥쿠식-네이선스 유전의학연구소에서
연구원
으로 근무하던 김 교수는 일반인 30명의 주요 장기 및 세포에서 단백질을 분석해 제작한 인간의 단백체 지도 초안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단백체 지도를 통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 ...
소행성 흙 배달이요! 하야부사 2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인류 최초로 달에 발도장을 찍은 닐 암스트롱은 이렇게 말했어요.“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자국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만약 하야부사 2호가 말을 할 수 있었다면 이렇게 얘기하지 않았을까요?“한 탐사선에게는 작은 모래 한 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보물이다.”작년 12월 6일, 일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