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학
산수
위상수학
위상
초등수학
초등
mathematics
d라이브러리
"
수학
"(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자의 세계로]
수학
자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포민 미시간대 교수가 “우리 학교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을 연구하는 교수들이 많아서
수학
자로 성장하기 좋을 거다”라면서 미시간대로 옮길 것을 제안했어요. 그래서 학교를 옮겼습니다. 사실 2009년에 미시간대 박사과정에 지원했었는데 떨어졌거든요. 이 사실을 이야기하니까 포민 교수가 ... ...
[
수학
이란?]
수학
은 예술의 하나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Q. 수많은 추측을 해결했는데, 그 과정에서 어려움은 없었나요? A. 똑똑한
수학
자가 정말 많아요.
수학
자들끼리 보드게임을 하잖아요? 처음 접하는 게임도 금세 규칙 ... 초청강연을 앞두고도 만나서 인터뷰를 했습니다. 앞으로 어떤 연구 결과를 가지고 에 등장할지 기대됩니다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추측들을 보면 허 교수가 얼마나 중요한
수학
자인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수학
자가 평생 이런 문제를 하나도 해결하기 힘든데, 만 40세가 되기 전에 이렇게 많은 난제를 해결한 걸 보면 누구든 허 교수가 필즈상을 받고도 남을 성취를 했음을 알 수 있지요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 후에도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
수학
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연구를 하기를 ...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어? 당신은 혹시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님” 오후 4시 50분쯤 호텔 앞을 지나가는데, 가 그토록 인터뷰하고 싶었던 필즈상 수상자 비아조프스카 교수님을 만납니다. “이메일을 정말 많이 보냈어요. 인터뷰 가능해요?”라고 물었더니 “미안해요, 너무 바빴어요. 오후 7시 어때요 ... ...
주목! 한국
수학
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
자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분야와 연결지어 연구합니다. ‘모듈라이 공간’이라고 부르는 기하 구조를 연구하는데
수학
의 여러 분야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에요. 김 교수는 본인의 연구를 ‘우주의 신비’를 밝히는 작업이라고 말하는데요. 10여 년간 2차원 곡면을 연구했고, 최근에는 이를 발전시켜 3차원 공간을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연구임을 여러 번 역설했습니다. 요이치 모토하시 일본 니혼대학교 교수는 친한
수학
자에게 ‘장 교수의 증명을 살펴보니 오래 전부터 가능한 증명이었다’고 미리 알지 못했던 걸 아쉬워하는 장문의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존 프리드랜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는 2014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장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
자들과의 연구 교류가 그의 훌륭한 업적에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수학
계에서도 이러한 연구 환경이 주어지고 연구 교류가 더욱 활발히 이뤄지길 기원합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것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대표적 난제입니다. 이 문제가 어려운 이유는 컴퓨터과학자와
수학
자마다 컴퓨터에게 실수를 계산하게 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대학원 시절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는 실수 연산 모형 두 개가 일치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
의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 tanα×sinx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답니다. [원기둥 = 원뿔 + 반구] 고대 그리스
수학
자 아르키메데스는 반지름, 높이가 r로 같은 원기둥과 반지름이 r인 구의 부피 비는 3 : 2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후대 학자들은 반지름과 높이가 r인 원기둥과 밑면의 반지름과 높이가 r인 원뿔의 부피 비는 3 :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