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지용 박막 소재를, 박상백 교수는 전고체전지용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11월 13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만난 연구진은 ‘소재 드림팀’이었다. 이종호 에너지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은 UST가 설립된 2004년부터 교수로 활동하면서 지금은 U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쿨 나노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피도 빨갛다. 그런데 동물 중에는 다른 색의 피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한호재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단백질의 구조에 따라 동물의 피 색깔은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산소를 운반하는 성분에 따라 피 색깔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바닷속 무척추동물 중에는 헤모글로빈 대신 헤메리트린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받았고,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서울대 화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무기화학과 나노화학을 가르치고 있다. 플라스모닉스를 비롯해 금속나노화학, 나노바이오기술 분야를 연구 중이다. jmnam@snu.ac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모집했는데 이 중 69개가 1라운드를 통과했고, 2라운드에서 약 20개 팀이 선정됐어.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 연구팀과 김종락 서강대 수학과 교수 연구팀이 제안한 암호를 포함해 국내에서 5개 팀이 1라운드를 통과했지만, 아쉽게 2라운드에서 모두 떨어졌어.김 교수는 2~3년 뒤에 약 3개 팀의 ... ...
- 각성! 범람하는 데이터 제대로 활용하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진짜 제대로 쓰이려면 잘 정제돼야 하고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어야 하죠.” _김동규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데이터가 많을수록 그 속에서 제대로 정보를 찾는 것이 중요하고, 다음엔 정제한 데이터를 어느 문제에 연결할지 고민해야 빅데이터를 제대로 쓸 수 있다는 거예요. 무슨 말인지 도통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단골집에서 낙지철판볶음을 먹는다. 오랜만에 먹는 음식, 그리고 복잡하지만 익숙한 서울의 분위기에 취해 있다 보면 3주는 금방 지나간다. 겨울방학이 쉬는 시간이라면, 여름방학은 가장 생산적일 수 있는 시간이다. 석 달이라는 긴 시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많은 학생이 인턴십을 하거나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간도 오래 걸린다. 동결건조 식품이 열건조 식품보다 2~3배 비싼 이유다. 박성희 서울과기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적외선 복사에너지나 마이크로파로 물 분자의 진동을 유도해 승화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며 “1인 가구가 늘면서 가정간편식(HMR·Home meal replacement) 등에 동결건조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다마스쿠스 강과 비슷한 패턴의 무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긱블은 서울 은평구 수색동의 한 대장간을 섭외해 다마스쿠스 무늬의 호미를 만들 계획까지 세웠습니다. 가만히 있을 수 없죠. 11월 12일 기자가 대장간을 ‘급습’했습니다.긱블은 우선 세계 1위 철강회사인 포스코에서 두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있어야 해요. 추상적 공간을 다루는 건 오랫동안 수학자들이 연구해온 일이고요. 그래서 서울대 수학과 출신인 김이식 YISHAN LINKS 대표는 “미래 세대에게는 수학적 사고력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 라고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했어요.여러분도 빅데이터 시대의 주민이 될 준비를 마치셨나요? 그럼 ...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벌, 파리, 나비 등의 화분매개자가 어느 지역에 분포해 있는지 파악했어요. 또한, 서울 일부 서식지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끊겨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지요. 서식지가 끊기면 화분매개자들이 좁은 지역 에 고립돼 개체수가 줄어들 위험이 커요. 그래서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컴퓨터 모의 분석을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