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 가상인터뷰] ‘정확한’ 수학이 좋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저처럼 침대에서 뒹구는 게 취미라고요?하하, 취미라기보다 어릴 때부터 자주 아파서 침대에 오래 누워있었어요. 침대에서 명상하거나 생각을 깊이 할 수 있었지요. 그 덕분에 창의적인 연구도 할 수 있었고요. 계산식에서 모르는 값을 x, y 등으로 나타내는 방법,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하는 ‘거듭 ... ...
- 두 번째 방_수상한 잡동사니방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서재와 연결된 문을 여니 새로운 공간이 펼쳐졌어요. 언뜻 봤을 땐 잡동사니가 잔뜩 쌓여 있는 평범한 방 같았어요. 알록달록한 블록이 높이 쌓여 있고, 화려한 문양의 조각들이 벽에 붙어 있는 것만 제외하면 말이지요. 케키가 문을 가리키며 외쳤어요.“방문에도 수상한 글자가 쓰여 있어!” 그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이상한 얼음 행성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이상한 건 사라진 용용만이 아니었습니다. 온천 주위에 아까는 없었던 구덩이가 여러 개 파여 있었습니다. 딱지는 황급히 온천 주위를 둘러보았습니다. 하지만 용용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눈까지 내리고 있어 먼 곳은 보이지도 않았습니다. 딱지가 통신기로 해롱 선장에게 보고했습니다. ...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➋] “재미있는 수학자로 기억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젊은 수학자는 누가 있을까요?’라고 우리나라 수학자에게 질문하면 반드시 거론되는 분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1995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만점을 받은 것으로 유명한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UC 버클리) 수학과 교수입니다. 2022 러시아 상 ... ...
- 다른 우주의 길목, 웜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2년 03호
- 191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이 발표되며 무한에 가까운 질량과 중력을 가진 블랙홀이 존재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의 존재는 동시에 그 어떤 물질도 들어갈 수 없고, 나오기만 하는 화이트홀이란 개념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이 두 천체를 연결하는 다리 ... ...
- [과제] 이번 수업의 과제는 이야기 나누기 입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기술: 첨단기술이 언제나 정답은 아닙니다장애인 이동권 문제에 세간의 이목이 모인 건 지난해 12월부터다. 그러나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라는 투쟁은 올해로 21년째 이어져 온 오랜 외침이다. 2001년 1월 22일,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 장애인 노부부 추락 참사가 시작이었다. 설을 맞아 역귀성한 3 ... ...
- [이달의 책] 인간과 동물 사이의 장벽은 환상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바다의 숲크레이그 포스터, 로스 프릴링크 지음이충호 옮김│해나무│392쪽│2만 원 ‘문어 이야기에 눈물이 나오다니’.넷플릭스 영화 ‘나의 문어 선생님’을 감상한 직후 머릿속엔 이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문어가 지능이 높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지만, 사람과 문어 사이의 진정한 우정 앞에 ... ...
- [특집] 과학자가 말한다!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전 세계에는 수많은 과학자들이 시민과학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요. 이번엔 시민과 함께 우주를 관측하는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봐요. 베슬린 코스토프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박사 후 연구원, 시민과학 프로젝트 ‘행성 순찰대’ 책임자존 위스니우스키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물리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랜선 친구와 더불어 살아가기! 온라인 커뮤니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어과동 친구들은 세상에서 홀로 살아갈 수 있나요? 아마 자신있게 “나는 혼자 살 수 있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예요. 이는 온라인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예요.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과 커뮤니티를 이루며 살고 있죠. 그런데 직접 본 적 없는 온라인에서 모두 믿어도 되는 걸 ... ...
- [기획] 개표 방송,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수학동아 l2022년 03호
- 꿋꿋이 투표까지 했다면, 이제 손에 땀을 쥐고 개표 방송을 지켜볼 차례입니다. 하지만 내가 선택한 후보가 크게 앞서가고 있다면 방송을 끝까지 볼 필요 없이 흐뭇한 기분으로 잠들 수 있지요. 개표 방송은 새벽까지 이어지니까요. 그런데 이게 웬일? 아침에 일어나니 역전패를 당한 게 아닙니까?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