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표범' 하늘을 걷는 직지, 건강의 비결은 통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없다는 거예요. 그러나 이사를 하기까지 아직 많은 시간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 사이 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했지요. 청주랜드 소장님과 청주동물원 직원들의 노력으로 예산을 받아 직지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로 했어요. 아무래도 하나의 넓은 공간을 만드는 건 불가능해 보였어요. 대신 다른 ... ...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장마 전선이 북쪽으로 이동하는 걸 막은 거예요. 북태평양 고기압과 건조한 공기 사이에 낀 장마 전선이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오르내리며 우리나라 상공에 오래 머물렀고, 그 결과 가장 긴 장마가 나타났답니다. 장마 전선에 수증기가 더해지다!이번 장마는 강수량도 어마어마했어요. 장마가 ... ...
- [과학뉴스] 태평양 살던 플랑크톤이 북극해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1m3당 평균 843마리로 북극해에서 발견된 양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죠. 연구팀은 2014~2016년 사이 북극해를 항해하며 여름 바다 수온을 측정해온 결과를 토대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수온이 올랐기 때문”이라며 “유칼라누스 번지는 북극 온난화의 직접적인 증거”라고 설명했답니다 ...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모두 합심하여 호박 화석을 사지 않고 연구도 하지 말아야 할까요?이에 관해서는 연구자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려요. 2020년 4월, 고생물학자들의 모임인 척추고생물학회에서는 논문을 발표하는 학술지에 “미얀마 호박 화석을 이용한 연구를 발표하지 말라”고 권유하는 편지를 썼어요. 비슷한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찔렀어요. 곳곳엔 죽은 대벌레들이 있었지요. 산 정상, 봉산정에는 벤치 아래, 나뭇가지 사이, 정자 밑 등에는 살아있는 대벌레들이 많았지만, TV에서 본 것만큼 많지는 않았어요.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은평구청이 9회 차(7월 27일 기준)에 걸쳐 살충제를 뿌리거나 대벌레를 손으로 잡아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가기’ 카드를 차례로 찍으며 코딩을 하자, 지니봇이 검은 선으로 그려진 격자무늬(+) 사이를 한 칸씩 이동했어요.이윽고 사탕 뺏기 게임 시간이 다가왔어요. 이은승 대표는 준비한 사탕을 탁자에 퍼뜨려 두었어요. 지니봇을 조종해 사탕을 가장 많이 모으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었지요. 이번에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따뜻한 불빛이 반짝 반짝! 양초로 집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가느다란 관의 벽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이 액체를 끌어당기는 거죠. 양초에선 심지 사이의 빈 공간이 가느다란 관 역할을 해서 액체 파라핀을 끌어당겨요. 같은 원리로 위 실험에선 오렌지의 심지가 올리브유를 위쪽으로 끌어당긴답니다 ... ...
- [헥!헥!핵물리학자] 쪼개고 또 쪼개면 세계의 근본을 알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힘이지요. 강한 핵력은 전자기력보다 100배 강한 힘으로 쿼크를 한곳에 모아둬요. 양성자 사이의 서로 밀어내는 전자기력도 이겨내고 양성자와 중성자 여러 개를 꽁꽁 묶어 작은 핵을 만드는 것도 강한 핵력이지요.그렇다면 쿼크는 어떻게 강한 핵력을 만드는 걸까요? 전자기력이 전하를 지닌 물질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에필로그 꿀록 탐정은 나무 밑에 있던 콜라와 사이다 병을 들어 올리며 질문했어요.“이 음료수 병들은 뭐죠?”“그건 제가 마신 음료수들이에요. 여기 보온병에 담아서 시원하게 들이키곤 하지요.”양치기 소년이 허리춤에 있는 보온병을 꺼내 들며 ... ...
- [특집] 생물막, 제거하라! vs 활용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바이오필터가 쓰이고 있지요. ▲ 폐수 정화시설에서 폐수를 뿌리는 모습. 폐수가 돌 사이에 붙어 자라난 생물막을 통과하면 폐수 속 유기 오염물질이 분해된다. _인터뷰김동엽(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조교수) “충치가 싫다고요? 입속 생물막을 관리하세요!” 우리가 쉽게 접할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