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높고 냉각속도가 알맞으며 냉각효율이 양호해야 한다 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
1892년 D I 이바노프스키가 발견했고 이와는 별도로 1898년 M W 비제린크도 발견했다당뇨병이 진행되는 동안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장애(代謝障碍)를 일으켜 중추신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혈우병 환자 등의 강력한 요구에 따라 올해 8월부터 모든 혈액에 대해 에이즈나 간염
바이러스
검사를 할 때 효소면역검사법과 함께 핵산증폭법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한다.혈장혈액을 원심분리하면 아래쪽에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같은 성분이 가라앉고 위쪽에 투명한 담황색 액체가 뜬다. 이 ... ...
여자 양궁 선수의 첨단 장비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예컨대 고등 동식물의 염색체의 주성분인 뉴클레오히스톤·뉴클레오프로타민과 DNA
바이러스
가 있다 부신피질호르몬의 하나 분자량 33047, 녹는점 141~142℃ 당질 대사에 관여한다부신피질에 있는 스테로이드-21-히드록실라아제(steroid-21-hydroxylase)가 프로게스테론에 작용한 결과로 만들어지며,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두 장을 포개 감은 축전기 MP 콘덴서라고도 한다 감염과 발병 · 경과가 급격한 전염병
바이러스
· 세균 등을 병원체(病原體)로 하여 직접 사람에서 사람으로 감염되거나 간접적으로 음식물 · 오물 · 모기 · 벼룩 등을 통해 감염 · 유행되는 급성질환이다 고생대 말기를 주로 하여 페름기 중기까지 ... ...
유전자 집어넣어 바람기 잠재운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교수와 동료들은 평소 바람둥이인 목초지 들쥐(meadow vole)의 뇌에 특정 유전자를 집어넣은
바이러스
를 침투시켜 암컷 한마리에 만족해하는 성격으로 바꾸는데 성공했다. 이 유전자는 들쥐의 뇌속에서 ‘V1a 수용체’ 를 만든다. V1a 수용체는 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을 인식하는 단백질로 뇌에 충분한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일반적으로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가는 속도는 느림)염소나 토끼의 뇌에 접종한 광견병
바이러스
를 석탄산(石炭酸) 또는 자외선 조사법으로 만든 백신 광견병에 걸린 동물에게 물린 사람은 그 잠복기 내에 주사하여 발병을 예방하는 데 쓰인다 빛을 비춤으로써 반도체에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 ... ...
최초 폰
바이러스
'카비르'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실행되는 휴대전화 백신을 개발했다. 휴대전화를 아예 못쓰게 만들 수 있는 악성
바이러스
의 출현은 시간문제일지도 모르겠다. 미래에는 휴대전화에도 컴퓨터처럼 백신을 설치해야 할까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밝혀지면서 전기를 맞게 된다. 생육촉진세균이 기생하는 식물은 곰팡이는 물론 세균,
바이러스
가 일으키는 각종 질병에 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그동안 생물농약의 단점인 적용범위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 것이다. 또 그 효과가 식물 전체에 미친다는 점, 특정 병원균이 아닌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동물이 주된 연구 대상이다. 이종이식은 면역거부반응이 워낙 강하고 인체에는 없는
바이러스
나 곰팡이 등 병균의 침투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많아 아직 연구단계다.그러나 비록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이종이식이 가끔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위급한 상황에서 장기 제공자를 찾지 못할 경우 ... ...
다양한 포도 색깔은 이동유전자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이언스’ 5월 14일자에 발표됐다. 이동유전자는 세포의 DNA 속으로 들어가 융합된
바이러스
성 DNA가닥으로 인간의 DNA에서도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포도껍질의 짙은 자흑(紫黑)색은 붉은 색소인 안토시아닌을 만드는 유전자 때문이다.일본 과수연구원 쇼조 코바야시 박사팀은 청포도와 연한 붉은색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