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시
강시
동일시
동일화
같은시간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동시
"(으)로 총 1,53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사운드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녹음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보드내에 여러개의 카드가 들어있기 때문에
동시
사용이 쉽다. 즉 CMS카드나 애드립카드를 이용해 배경음악을 연주하면서 보이스 기능으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애드립 사운드와 호환성이 있으며 미디 인터페이스와 조이스틱 포트, CD롬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세계 반도체 주생산업체들은 투자부담을 나누고 신제품 개발에 대한 위험부담을 줄이며
동시
에 안정적인 시장확보를 위해 다국간 협력을 통한 세계화(globalization)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과연 1G이상의 세대에서도 메모리산업이 산업으로 존속할 수 있을지는 아무도 장담하지 못한다. ... ...
선거와 언론보도 어떤 관계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선택을 바꾸는 데까지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 86년 중의원 참의원
동시
선거가 조사대상 이었는데, 유권자들은 후보에 관련된 정보가 보도됐을 때 이미 작정한 자신의 입장을 강화하는데 정보를 이용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다고 한다. 오히려 언론보도로 후보를 바꾼 사례는 대부분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볼 수 있다. 또한 공룡들은 조류를 탄생시킨 무리라는 점에서 역사상 가장 중요한 동물인
동시
에 자연사 측면에서도 종은 진화하며 또 많은 종은 자주 멸종한다는 사실을 확연히 보여 줌으로써 진화의 법칙을 실증한 셈이다.한때 번성했던 동물군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 사실은 생물과 자연의 조화가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개별소자 공정시 손톱만한 크기의 단결정 기판 위에 고주파 소자 및 반도체 개별소자를
동시
에 집적시킬 수 있다.MMIC를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재료는 크게 실리콘과 화합물 반도체로 대별할 수 있으나, 전력소모가 작고 주파수 특성이 실리콘에 비해 우수한 갈듐비소 인듐인 같은 화합물 반도체가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기 때문이다.요즘을 인공위성 시대라 한다. 통신 방송위성이 떠 지구촌 곳곳을
동시
생활권으로 묶고 있으며 여러 과학위성들이 지구를 세밀하게 관찰, 해류와 대기의 움직임을 면밀히 살피고 있으며 각종 자원의 분포도를 작성하는 등 원격탐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인공위성은 최소 수백km ... ...
'인간 게놈 염기배열 특허대상 안된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대부분을 발견하는 것이 목표"라고 자신있게 말하고 있다. 게노믹 리서치 연구소와
동시
에 설립된 휴먼게놈사이언스사가 연구소에서 얻어지는 성과를 특허화하고 이를 가지고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맡고 있다.이러한 미국의 움직임에 대해 영국 의학심의회에서는 지난 6월 약1천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도입.선 그리기와 그림문자를 삽입할 수 있는 기능.선 보호기능과 문단설정기능 제공.
동시
에 3개의 파일까지 열 수 있음.풀다운 메뉴 지원.VGA 모드 지원.레이저프린터 사용가능.●분류 : 한글 에디터●개발자 : 박규현●개발언어 : MS-C●발표시기 : 92년 8월●자료 위치 : HITEL 큰틀 자료실98 ... ...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
생활권으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적도상공 3만5천8백㎞에 떠서 지구촌 곳곳을 연결해 주는 통신·방송위성은 상업위성의 대표주자다.인공위성의 응용은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고도화되고 기능이 다양해져서 여러면에서 인류의 생활을 풍부하고 편리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특히 통신위성에 의해서 해외에서 일어나는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반재탁)가 맡았다. 날씨는 대체로 양호했고 쌍안경을 이용한 극한 등급 측정에는 3명이
동시
에 관측, 평균하는 방법을 취했다. 결과는 6.66개가 나왔으나 분석팀에 의해 7개로 정정됐다. 3명중 2명이 7개를 봤다면 7개로 취급해야 한다는 논리. 하산중 다리를 다치기도회동동 구월산에는 동아대(팀장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