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꼭"(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그랬다. 굵직굵직한 일들이 국내외에서 터져 나왔다. 꼭 과학 분야에 국한된 일은 아니었다. 사회, 외교, 보건 등 언뜻 과학이나 기술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일들이 뉴스를 뒤덮었다.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이 깨닫고 있을 것이다. 세상 그 어느 이슈도 과학이나 ...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주며 중력파 검출을 선언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6년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 지 꼭 100년 만이었다.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현상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숙제가 풀리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 소식을 생중계했고, 전세계 언론은 대서특필했다. 이후 중파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목표 자체는 단순한 게임이다. 컴퓨터의 장점, 즉 극대화된 계산 능력이 빛을 발하기에 꼭 맞는 분야다. 그에 비해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는 규칙이 단순하지 않고, 같은 표현이라도 전체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며, 온갖 비유와 역설적인 표현으로 가득 차 있어서 컴퓨터에게는 훨씬 어려운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양자난수 기술은 정말 예측이 불가능한 난수를 제공해 줄 것이다. 그러면 정보시대에 꼭 필요한 ‘완벽한 보안’을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안심할 수 있도록 귀중한 데이터와 개인 정보를 지켜주는 것은 바로 뭐가 나올지 불확실한 난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뜻해요. 모탕은 나무를 패거나 자를 때 받쳐놓는 나무토막이에요. 나무를 팰 때 꼭 필요한 물건이지요. 여기에 ‘재물’을 뜻하는 조개가 더해져 사람이 살아가는 데 기본이 된다는 의미가 되었어요. 따라서 ‘매질’은 물리적인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해 주는 물질을 뜻한답니다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해 발달한 형태다. 녹을 듯한 애교에 잠시 잊었겠지만, 고양이는 완벽한 육식동물이다. 꼭 기억하라. 당신이 고양이를 키우겠다는 건, (크기가 작은) 육상 포식 동물 한 마리를 집 안에 들인다는 의미다.야생성 : 장난감, 너 부숴버릴 거야학술지 ‘비교심리학’ 2014년 11월호에는 집고양이(domestic cat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丁)자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정자각’이라고도 부릅니다.배례청의 기와지붕을 보면 꼭 산등성이처럼 생겼습니다. 둥근 기와는 원의 일부분인 호를 닮았습니다. 기와가 만드는 선이 직선인 경우도 간혹 보이지만 경기전 안에 있는 지붕을 보면 기와가 만드는 선은 대부분 큰 원의 일부인 호로 ... ...
- [과학뉴스]이제 로켓도 재활용 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을 우주로 보낼 때 꼭 필요한 추진 장치예요. 로켓은 추진체 역할을 하는 ‘1단’과 우주로 올려 보낼 위성이 실리는 ‘상단’으로 구성돼요. 지금까지는 추진체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면 이를 바다에 버렸어요. 무게를 줄여 우주까지 올라가는 데 필요한 연료의 양을 줄이기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영국 맨체스터시’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한국 사람에게는 박지성 선수가 활약했던 축구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연고지로 유명하죠 ... 꼭 이용해 보라고 추천했습니다. 식당이 없어서 음식은 밖에서 사먹을 수밖에 없지만 커피는 꼭 연구소에서 챙겨 마실 정도로 맛있다고요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람들의 이런 심리를 이용한 질문지 작성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모르겠다’를 꼭 넣어야 하는 이유슈만과 프레서는 질문의 보기가 몇 개인지에 따라서도 설문조사의 결과가 달라진다고 밝혔습니다. 같은 질문이라도 보기에 ‘모르겠다’, ‘그저 그렇다’, ‘보통이다’와 같은 중간 항목을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