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d라이브러리
"
고유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다루어 왔고 그것은 지능의 흉내에 지나지 않았다.인간에게는 태어나면서부터 갖는
고유
기능으로서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소위 오감(五感)이 있고, 어떤 상황판단에 따른 추론, 곧 육감(六感)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 또 인간은 성장함에 따라 그 기능이 고급화되고 교육과 학습을 통해서 그 ... ...
열과 전기의 비밀통로 무전기로 둔갑한 「빨치산반합」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가장 간단명료하게 보여주는 식이다. 여기서 비례상수 α(volt/℃)는 제벡계수로서 재료
고유
의 물성치인데 이 값이 큰 재료일수록 열기 전력의 발생은 크게 된다.이번에는 펠티에 효과를 살펴 보자. 금속전극 A, B를 통해 재료의 양 끝에 화살표 방향으로 전류(I)를 흘려 보내면 어떻게 될까? N형재료의 ... ...
90년대의 암치료 드러난 허점부터 보강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본격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는 없다. 항암제나 방사선의 '시력'을 높이려면 암조직
고유
의 대사계, 즉 정상조직에는 전연 없는 암조직 특이효소를 발견해 그 효소에 대한 선택적 저해제를 개발하는 방법이 가장 이상적이다.또 암조직 특이항원을 찾는 것도 암정복의 지름길이다. 암조직 특이항원을 ... ...
기체는 연속인가, 입자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실험을 해 보고 비교·토론하면 좀 더 확실한 개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3-2 ② 입자는
고유
운동을 하며 서로 다른 입자는 서로 다른 속력으로 퍼져 나간다. 공기입자는 스스로 움직인다고 생각한 사람도 다른 기체들은 공기가 날라다 준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배고플 때 부엌쪽에서 바람과 함께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모두 8명이란 점을 감안하면 한꺼번에 3명이나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사실은 남성
고유
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과학기술분야에 여성들이 맹렬하게 벽을 허물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고분자화학을 전공한 김윤희씨는 만25세 11개월만에 박사학위를 획득해 남녀를 통틀어 최연소박사의 영예를 안았다.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금성에 3백km 이내로 접근시켜 대기권에 기구를 띄우는 것이다.그러나 ISAS는 일본내의
고유
임무에 묶여있는 상태이며, ISAS와 경쟁상대인 일본국립우주개발국(NASDA)은 이미 화성에 정교한 우주선을 보낼 능력을 갖춘 로켓을 발사시킨 상태이면서도 이번 국제 화성탐사회의에 대표성을 갖고 있지 ... ...
플라스틱이 전기를 통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변하는 속도가 O.02초에 불과하므로 빠른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주어진 전압에 따라
고유
한 색깔을 나타내므로 정보기억소자로의 응용도 가능하다.트랜지스터도 전기전도성 플라스틱의 활용 영역에 포함된다.전기전도성 플라스틱도 도핑을 시키면 실리콘반도체와 마찬가지로 n형 또는 p형이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되고 아울러 전파손실도 줄이게 된다.광섬유의 최대 신호전달 거리는 석영 유리재질의
고유
한 산란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모든 투명한 물질은 빛을 산란시키고, 산란의 크기는 파장의 4승에 역비례한다. 한국의 가을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이유도 바로 대기중의 입자가 산란하기 때문이다.석영계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조선영토임을 인정하는 에도막부의 승인서를 받아낸 바 있다.독도가 세계지도에서
고유
의 이름을 상실하고 일본측이 주장하는 '다케시마'으로 불린 것은 한일합방 이후의 일. 해방 후에는 1953년 홍순칠씨가 독도의용수비대를 창설하여 3년간 독도를 지키다 1956년에 현재의 독도경비대에 임무를 ... ...
장수와 단명 가르는 세 인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르게 되는 것이다.다빈치의 노화론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여러 생물의
고유
한 수명을 관찰하고 이를 기록하고 있다. 또 르네상스시대에 살았던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과학자,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수명과 연관시켜 다음과 같은 흥미진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그는 나이를 먹음에 따라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