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공간과 같은 기본 요소 이외에도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있는지, 백신이 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지난 10월, 미국 버지니아공대 생물정보학연구소는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왼쪽과 같은 수학식과 함께 ‘에볼라 수리 모델’을 발표했다. 이렇게 복잡한 미분방정식은 주로 컴퓨터를 이용해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국가의 물가, 환율, 거래 금액의 크기와 거래 빈도수, 사용자 수요와 만족도 등을 전부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화폐 액면 체계의 효율성은 거래에 필요한 동전의 평균 개수와 화폐의 종류 수를 기준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액면 체계는 무엇일까?탐욕 알고리즘으로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만들었다. 높은 건물을 올려다 볼 때 생기는 시각의 왜곡을 표현하기 위해서다. 원근감을 고려한 입체 효과 덕분에 관람객들은 천장이 낮은 공간에서도 훨씬 높은 건물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둘, 여러 감각을 동시에 자극한다! 정말 비가 오는 것처럼 눈앞에서 흘러내리는 빗줄기와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얻을 수 있다.문제는 기지국 안테나에서 전자파를 보낼 때 사용자의 휴대전화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방향으로 보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제 휴대전화의 안테나는 기지국에서 보내는 신호의 아주 일부만을 수신한다. 그런데 이를 레이저빔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해 4G보다 용량을 1000배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바 없다. 필래 착륙(1파트 참조) 때보다 오히려 쉬운 점도 있다. 소행성의 자전속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빠르게 회전하고 있는 소행성을 어떤 마술을 부려 붙잡는 걸까. NASA는 소행성을 담을 가로 15m, 세로 10m짜리 대형 비닐봉지를 준비했다. 이걸 마트에서 파는 쓰레기봉투처럼 차곡차곡 ...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당시 기차에 탄 70명 전원이 죽거나 실종됐다. 조사 결과 바람이 주는 압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설계가 참사의 주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 이후 다리를 지을 때 바람의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만들기 시작했다.강한 바람만 다리를 위협하는 건 아니다. 선풍기 바람에도 다리는 무너질 수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나노기술융합 연구단장, 곽지현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 진행을 맡은 과학동아 윤신영 기자(왼쪽부터).]서 단장은 “광학현미경의 원리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하겠다”며 기발한 비유를 들었다. 자신을 분자라고 가정한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게다가 날개 부위별 깃털의 차이, 몸의 전체적인 균형 유지 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새의 움직임을 제대로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3D 프린터를 활용해 새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3D프린터로 새를 출력해 배터리만 끼워 바로 날려 보낼 수 ...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대해 연구했다. 지금까지 나라별 축구 성적과 전 세계 축구팬들이 배팅한 금액을 고려해, 두 나라가 경기할 경우 누가 이길 것인지 확률을 따져 가상 월드컵을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이번에 우승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나라는 확률 19.95%로 브라질이었다. 독일과 아르헨티나, 스페인이 뒤따랐다. ...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머리의 길이와 너비, 눈썹의 색과 굴곡, 코가 휘어진 정도, 면도 상태 등을 세세하게 고려했다. 그리고 1000명의 얼굴 사진을 수집한 뒤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앞서 나온 65가지의 특성을 살린 그림으로 변환했다. 30명의 실험 참가자를 모은 연구팀은 얼굴을 묘사한 그림을 보고 다가가기 쉬운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