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d라이브러리
"
가설
"(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간빙기의 주기적인 반복을 합리적으로 설명, 한동안 학계에서 큰 주목을 끌었다. 이
가설
은 유고슬라비아의 수리기상학자인 밀란코비치(Milancowitch)에 의해 처음으로 제창됐는데 이 설을 요약하린 다음과 같다.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는 타원궤도를 돌게 된다. 그런데 이 타원궤도의 초점이심률이 ... ...
"환지(幻肢)현상은 뇌신경 때문"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정상석인 감각 입력을 잃어버린 척추의 신경세포가 직접 자극을 보내기 때문이라는
가설
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지의 원인이 뇌 때문인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로널드 멜잭 박사는 뇌의 신경세포망이 환지를 일으킨다고 설명한다. 뇌의 신경세포망은 말초신경으로부터의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하나의 이야기로 엮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코비의 관측결과는 이 네개의 이론적
가설
을 모두 입증해주고 있다. 즉 20세기에 과학자들이 수많은 실험과 관측자료를 집대성해 만든 우주의 생성과 진화에 관한 이 표준이론이 20세기말에 극적으로 입증된 것이다.과학자들이 풀어야 할 문제는 아직도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수 있다. 볼백사는 프랑스의 사기업인데 현재 이 회사가 프랑스 전역에 전문 네트워크를
가설
, 도난방지용 마이크로 칩이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인공위성에서 마이크로 칩의 신호를 수신한다는 계획도 수립해놓고 있으나 이 경우 위치판정의 정확성이 떨어져 큰 호응을 얻지는 못하고 있다. ... ...
우주 암물질의 비밀규명 박차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앞선 것이 ${10}^{-17}$~${10}^{-20}$초 정도 일찍 닿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구드가 세운
가설
이 실제로도 증명된다면 암물질은 태양질량의 ${10}^{-13}$~${10}^{-16}$ 배가 되는 소행성이나 혜성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암물질은 그보다 질량이 더 큰 행성체거나 질량이 더 작은 아(亞)원자급 입자들일 것이라고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했다는 설명도 있다.한편 그랜드 캐년이 점진적인 진화를 겪어 형성됐다는 전통적인
가설
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들에 따르면, 패리아강과 합류하는 지역일대에 남북방향으로 배사구릉이 형성돼 있었기 때문에 동쪽의 낮은 지대에 수천㎦의 유량을 갖고 있는 두개의 거대한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통신을 우리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이라고 한다.지금도 컴퓨터통신을 할 때 기존에
가설
된 전화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불완전한 선로 사정으로 말미암아 오접이나 중간에 불필요한 잡음이 많이 섞여든다고 한다. 누군가가 엄청난 옥타브의 비명을 지른다면 그 전화선을 디지털 ... ...
지구 최초의 생명 우주서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이들이 빗물로 원시지구의 바다에 흘러들어 지구 최초의 생명체를 만들어냈을 것이라는
가설
을 완성했다.그러나 이후의 연구를 통해 원시지구의 대기는 지구 자체의 화산활동 산물인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주류를 이루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치바와 세이건은 이 새로운 연구결과를 근거로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간주하고 있다가 근래에는 이들이 한 대륙이었다가 떨어져 나간 것이라는 새로운
가설
을 세우고 있다. 숫자로는 자연대수의 밑 e를 소수점 아래 9자리까지 보면 e=2.718281828…로 1828이 반복되는데, 이것은 우연으로 봐도 좋겠다. 그러나 위의 두 문제는 모두 우연이 아니다.첫번째 문제에서 n개의 9를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사용되었어도 '이것이 강한 화학결합으로 연결된 매우 큰 분자'라는 스타우딩거의 고분자
가설
(macromolecular hypothesis)을 당시 화학자들은 대부분 믿지 않았다. 오히려 콜로이드와 같이 작은 분자들이 화학결합 보다 약한 2차결합력에 의해 화합되어 있는 저분자의 집합체라고 믿었다.고분자의 실체를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