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구름이다.귀신의 코에는 또 다른 비밀이 숨어 있다. 제2세대 별들이 탄생을 위해 준비
중
이다. 이 별들이 태어나면 그들의 보금자리를 또 다른 모습으로 탈바꿈시킬 것이다. 그러면 이 우주 괴물은 어떤 모습으로 바뀌게 될지 궁금하다.또 2세대 별들은 다음 세대의 별들이 태어나는 데 영향을 미칠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따라서 역학이나 전자기학처럼 연속적인 에너지 개념을 사용할 수도 없었다.열역학 문제
중
에서도 특히 흑체복사가 골칫거리였다. 흑체복사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찾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흑체는 입사하는 모든 전자기 복사선을 완전히 흡수하는 물체다. 흑체는 복사선을 흡수한 후 특정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름도 ‘반복되는 타일’(repetitive tile)에서 딴 것으로 수학 퍼즐 분야의 대가
중
대가인 솔로몬 골룸 교수가 만들었다. 아마 가장 간단하고 흔한 렙타일 도형은 프린터 용지로 많이 쓰이는 A4다. A4를 절반으로 자르면 A5가 되는데, 이는 원래 도형인 A4와 닮은 도형이다. A4는 렙-2 도형인 것이다.6개의 ... ...
살 빼려면 잠 잘 자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감안해서 조정한 것이다.헤임스필드 박사는 “수면
중
에는 칼로리 연소가 적은 만큼 잠을 더 자는 것이 살찌는 것을 막는다는 게 얼른 이해되지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먹는 것은 깨어있을 때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그는 “인간은 ... ...
인간과 고릴라 공통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인간을 비롯해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등 현재 존재하는 대형 유인원의 공통 조상
중
가장 최근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화석의 이름은 발견된 곳을 딴 ‘피에롤라피테쿠스 카탈라우니쿠스’다.이 유인원은 사람처럼 두 발로 설 수 있고 나무도 잘 오르지만 손가락 길이가 짧아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온나라가 온통 ‘웰빙’ 열풍에 휩싸였던 2004년 한 해가 이제 저물어 간다.올해도 과학기술자의 열정과 노력에 힘입어 수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왔다.그
중
에서 우리 삶에 진 ...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진로보틱스는 아이로비를 메신저나 휴대전화와도 연동하는 기술을 개발
중
이라고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홀로 존재하지는 않으며 둘 또는 셋이 모여
중
간자나
중
입자를 이룬다.표준이론1960년대
중
반 셸던 글래쇼, 스티븐 와인버그, 압두스 살람 등이 입자물리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 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 ...
초음파 가습기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원리를 살펴보자.초음파 가습기의 원리 초음파로 물을 작은 알갱이로 쪼갠 뒤 공기
중
에 배출한다. 전기회로에서 발생시킨 특정 주파수의 전기신호(01)를 물속 진동자에 전달하면 1초에 170만번 이상 진동한다(02). 진동자가 전기신호를 초음파로 바꿔 물을 때리면 물분자의 응집력이 파괴된다(03).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보도했다. 패스트푸드에 함유된 지방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모르핀과 같은 마약에
중
독됐을 때와 비슷하게 뇌를 생화학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것이었다.이어서 2월에는 ‘뉴 사이언티스트’에 패스트푸드가 체내에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렙틴 호르몬의 분비시스템을 변화시켜 식욕 억제 작용을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교수는 “사람의 피와 미생물 사이에서도 비슷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며 “미생물
중
에는 사람과 똑같은 혈액형을 갖고 있는 것도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B형의 피에 침입한 A형 미생물을 생각해 보자. 피 속에 자신을 공격하는 항체가 가득 들어 있다면 이 속에서는 살아 남기 힘들다. 반면 ... ...
이전
1256
1257
1258
1259
1260
1261
1262
1263
1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