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뉴스
"
9
"(으)로 총 14,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손동희 교수…근육 재생 돕는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등 심전도 진단과 전기 자극을 통한 효과적인 심박 조율이 가능했다. 연구 성과는 지난해
9
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소개됐다. 손동희 교수 연구팀은 심혈관계 질환을 정밀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스티커형 바이오 전자소자 시스템을 개발했다. 과기정통부 제공 손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
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10권), 《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식물은 어떻게 작물이 되었나》가 있다 ... ...
과실연, AI미래포럼 개편 창립…매월 AI 토크콘서트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위한 국민연합(이하 과실연)은 이 단체가 운영하는 '인공지능(AI)미래포럼'을 기존
9
인 공동의장단 체제에서 16인 의장단 위원회 형태로 개편한다고 2일 밝혔다. 위원회에는 다양한 분야의 AI 전문가 7명이 합류한다. 이를 통해 제조·의료·국방·법률·컨텐츠 등 다양한 과학 및 ... ...
표적항암치료 위한 '차세대 RNA 혁신신약 나노전달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거쳐 RNA 나노 입자의 크기 및 표면 개질을 진행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개발된
9
종의 나노 입자는 우수한 생체 내 안정성을 보였다. 입자의 크기 및 표면의 종류에 따라 암 표적 효율과 표적 장기 전달률이 변화했다. 특히 입자의 표면이 히알루론산이고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암 표적 기능이 ... ...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뇌파로 치매·파킨슨병 예측 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어려웠다. 연구팀은 서울대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렘수면장애 환자 233명을 최장
9
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군과 미발병군으로 구분해 뇌파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뇌파 데이터로 환자가 첫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까지 걸린 시간을 예측하는 ... ...
의대 증원 2000명 고수 놓고 '엇박자' 혼란…전공의들은 수련 포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환멸을 느꼈다는 답변이 87.4%로 가장 많았다.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추진은 76.
9
%, 심신이 지쳐 쉬고 싶다는 41.1%로 그 다음 많은 답변이었다. 수련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 중에도 절반은 조건부 복귀 의사를 밝혔다. 이들 중
9
3%는 의대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를 백지화해야 복귀할 수 ... ...
자가면역질환 있으면 갑상선암 발병 위험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중 최소 하나를 가진 1만6328명의 환자들과 자가면역질환이 없는 1만6328명을 1대1 매칭해
9
.4
9
년 동안 추적 관찰, 갑상선암 발생 위험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갑상선암 발생 위험이 높았다. 하시모토 갑상선염 환자는 2.1배,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 ...
7년만의 북미 개기일식…태양 비밀 밝히러 한국 원정대 출격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스페인을 통과할 예정이다.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개기일식은 2035년
9
월 2일 오전
9
시 40분경 북한 평양 지역, 강원도 고성 등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서울의 경우 부분일식으로 관측 가능하다 ...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MRI로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전상용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기공명영상(MRI)를 이용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진단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부담을 덜면서 ... 덧붙였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9
일 게재됐다 ... ...
금속·유기 골격체 기반 전자파 흡수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
9
밀리미터(㎜)에서 100%에 가까운 높은 전자파 흡수성능을 보였다. 특히 더 얇은 두께인 0.
9
밀리미터(㎜)에서는 7.23 기가헤르츠(GHz)에 이르는 광대역의 흡수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타 국가에서 개발한 전자파 흡수 소재 대비 높은 성능 향상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이희정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