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큰물"(으)로 총 1,7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억’ 소리 나는 과학자들의 이사 풍경2016.11.04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대형 연구동을 준공하고 한창 이사 중이다. 이사는 내년까지 계속되며, 그 비용만 2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 UNIST 제공 가을 이사철이 막바지에 이르며 과학자들도 연구실 공간을 옮기는 일이 잦다. 실험장비 하나 옮기는 데 수백만 원, 연구실 한 곳이 옮겨가려면 수 ... ...
-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11.02
- 최근 라쿤이나 양, 고슴도치, 거북이, 이구아나 등을 키우는 이색카페가 늘고 있다. 음료를 마시며 귀여운 동물도 볼 수 있어서 인기가 좋다. 뿐만 아니라 동물을 전시하고 관람객이 직접 만져볼 수 있게 하는 체험동물원도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다. 개와 고양이가 아닌 특수동물을 이토록 많은 사람 ... ...
- “2020년까지 포유류 3분의 2 줄어든다”2016.10.30
- 세계 야생동물기금협회가 발간한 지구 생명 보고소 2016년. - WEF 제공 런던 동물학회와 세계 야생동물기금협회(WWF)는 ‘지구생명보고서(Living Planet Report)’를 통해 1970년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 야생 척추동물 58%가 사라졌으며, 2020년에는 3분의 2까지 ... ...
- 우주 망원경에 귀신이 포착됐다고?2016.10.30
- Pixabay 제공 “트릭 올 트릿!(Trick or Treat : 맛있는 것을 주지 않으면 장난칠 거야)” 올해도 어김없이 10월 31일 핼러윈이 찾아왔다. 주말 내내 서울 이태원과 홍대 앞 거리는 다양한 유령 분장을 한 사람들로 가득 찼다. 핼러윈은 켈트 족의 풍습에서 시작된 축제로 괴물이나 마녀, 유령 등의 모습으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침팬지보다 더 잔인하고 보노보보다 공감 능력이 더 뛰어난 우리는 양극성이 가장 심한 유인원이다. 우리 사회는 완전히 평화롭거나 완전히 경쟁적이었던 적이 없다. 또한 순전한 이기심에 지배당한 적도, 완전히 도덕적이었던 적도 없다. 순수한 상태는 자연의 방식이 아니다. - 프란스 드 발, ‘내 ... ...
- 아기 고양이에게 가장 빨리 반응하는 건 엄마 or 아빠?2016.10.24
- 고양이의 세계에서 암컷과 수컷 중 새끼의 울음소리에 누가 더 빠르게 반응할까요? 네, 예상했겠지만 암컷이 더 빠르고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합니다. 최근 독일 하노버 수의과대학교의 연구진이 이 사실을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고 하는데요. 놀라운 사실은 새끼를 낳아본 암컷이든 아니든 상관없이 ... ...
- [써보니]애플 아이폰7 속속들이 뜯어보기2016.10.21
- 아이폰7 플러스를 한 달 정도 썼다. 제품은 첫 출시일에 일본에서 구했고, 리뷰는 더 빨리 시작할 수도 있었지만 애초 더 빠른 리뷰를 위해 아이폰7을 서둘러 샀던 건 아니다. 조금 여유 있게 제품을 접하고자 했던 목적이 더 크다. 이제 아이폰7이 세상에 등장한 지 한 달이 지났고, 10월21일 국내에도 ... ...
- 과학자들은 ‘눈’이 아니라 ‘귀’로 본다?2016.10.21
- 2003년 개봉했던 영화 '데어데블'의 주인공은 초월적인 청각을 이용해 주변 환경을 파악한다. - 20세기폭스코리아 제공 2003년 개봉했던 영화 ‘데어데블’에는 강한 방사선에 노출된 후 시력을 잃은 슈퍼 히어로 매트 머독(벤 애플렉 분)이 등장한다. 이 영화에서 매트는 시력을 잃은 대신 초인적인 청 ... ...
-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10.20
- GIB 제공 커다란 물고기의 배설물이 산호초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해양및수산과학대 제이콥 알제이어 교수팀은 대서양과 멕시코 만에 접한 카리브 해 43개 산호초 지대 110곳에서 살고 있는 물고기 종을 조사하고, 그곳 바닷물의 인과 질소의 농도를 측정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매년 시월 노벨상 수상 시즌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발표로 시작된다. 그런데 고교 교과과정은 물론 대학 학과를 봐도 물리학상 화학상과 어울리는 건 ‘생물학상’이 아닐까. 알프레드 노벨이 ‘실사구시(實事求是)’형이어서 생물학은 인류의 삶에 도움을 주기에는 너무 동떨어진 학문이라고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