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사고"(으)로 총 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2탄 -토크쇼의 두 박사님과의 인터뷰...기사 l20140827
-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자세를 잃지 않았으면 합니다. 두 박사님의 인터뷰를 통해서 과학자의 길이 쉽지만은 않지만, ‘과학적 사고’라는 것에 한 발 더 다가가야 되겠다고 다짐해 봅니다. 어린이 과학 동아 친구들도 자신의 생활을 좀 더 뒤돌아보고, 앞으로의 꿈에 한 발 더 다가가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면서 오늘의 기사를 끝마칩니다. 글=윤민지 ...
- SOS! 환일중학교! GS건설! 환일중학교가 위험해요!기사 l20140826
- 배, 아니 5배정도는 크게 사고가 일어나는것이지요. 게다가 학생들이 아직 있는시간에 무너지기라도 한다면... 생각하기도 싫을정도의 사고가 일어나는것이죠. 어서 중학교를 철거하고 다른쪽으로 옳겨야할텐데 말입니다. 제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안녕히계세요 ... ...
- 제주도 한림항의 새벽 어시장 생선경매장 입니다. 어선들이 밤새잡은 고기를 상인들이 놓고 값포스팅 l20140825
- 제주도 한림항의 새벽 어시장 생선경매장 입니다. 어선들이 밤새잡은 고기를 상인들이 놓고 값을 부르며 사고 팔아요.고기가 엄청많고 사람도 많고 제주도 특산물 갈치가 가득~~ ...
- 우주항공 미래비젼 " 2040을 품고기사 l20140822
- 우주여행을 갈수 있는 날이 올것이다.홍보영상이 끝나고 1층 전시실에서 스마트 무인기 "드론" 을 보았다. 재난재해 감시용,지진사고,사고피해,복구에 이용된다고 한다. " 드론"는 내가 재미있게 본 영화 "트랜스 포머"에도 촬영 되었다고 한다.위성 시험동으로 자리를 옮겨 올해 12월에 발사할 아리랑3A호 조립과정도 볼 수 있었다.한국형 ...
- 방사능, 절~대 위험하지 않아요! 강의를 바탕으로 가상 인터뷰를 해보았습니다!기사 l20140810
- 예전에 방사능을 위험하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보며 '방사능은 도데체 왜 생겼을까' 라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방사능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방사능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방능사 선생님과 인터뷰를 해 보았습니다.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한석희입니다.Q1.방사선에도 종류가 있다고 하는데요, 도대체 무엇입니까?크게 ...
- 우리의 건강을 해치는 담배와 술!! 담배와 술에 숨어있는 위험한 성분기사 l20140730
- 대표적이로 알콜이 들어있어서 먹으면 취하게 됩니다.취하게 되면 위기대처능력이 떨어지고,감각이 둔해지기 때문에 여러가지 사고나 싸움이 벌어질수 있습니다.그리고 채온이 떨어져서 위험할수도 있습니다.술을 많이 먹으면 간암에 걸리기가 쉬워져서 위험합니다.이런 술과 담배의 숨겨진 나쁜 성분들!!!!되도록이면 술과 담배를 피우지 않아야 하고,이미 술과 담 ...
- KAIST-1 7층- 뇌질환 연구/ 간질- 발작 뇌의 한쪽이 크거나 파란색의 반점이 있다포스팅 l20140725
- 반점이 있다. 뇌조직을 떼어내야 간질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어린이의 뇌조직을 떼어내면 어른이 되면서 자폐증 환자가 불의의 사고로 죽었을 때 뇌조작울 기증한다. 6층- 혈관이 어떠한 형태를 가지는 지? 어떠한 상황에서 줄기 세포 연구 연구에서 가장 큰 보람: 계획이 된데로 결과가 나왔을 때 계획은 하지 않었지만 결과가 좋을 때 사람과 유전자가 ...
- 내 친구 책이 살고 있는 집, '도서관'에 놀러가기 우리 집 주변에 있는 도서관 찾아보기기사 l20140713
- 딸을 잃은 가족이 평소 책을 좋아했던 딸을 위해 낸 건립지원금으로 지어진 도서관입니다. 2003년 불의의 사고로 딸 이진아양이 숨지자 가족들은 딸을 기리기 위해 도서관의 건립기금을 기부하였고 시민들을 위한 구립도서관이 이진아양의 생일에 개관하였습니다. 우리 도서관은 개인적인 슬픔을 사회를 위한 나눔으로 승화한 아름다운 뜻이 담겨 있습니다." 도 ...
- 꿈을 찾는 메디컬 현장 탐방 동아사이언스와 함께 하는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기사 l20140704
- 일하는 현장을 찾아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기술대학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의과학대학원으로 갑니다. 이곳에서는 질병이나 사고로 장기나 신체 부위를 손실한 환자들을 위해 줄기세포 치료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답니다. 이곳의 연구의사 선생님께서 줄기세포와 재생의학, 그리고 연구의사가 하는 일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기로 약속하셨어요. 허준의 ...
- 서울숲에서 696종의 생명체를 만나다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4기사 l20140619
- 부딪쳐 죽는 까닭을 여쭤보았다. 선생님께서는 새들은 유리창이 투명하기 때문에 내부가 숲인 줄 알고 부딪친다고 하셨다. 이런 사고를 방지하는 스티커가 있는데, 이를 버드세이버라고 한다. 탐사가 끝나고 선생님께서 나를 살짝 부르셔서 버드세이버를 주셨다. 이 스티커에는 맹금류들이 그려져 있어 새들이 자신들의 천적으로 알고 가까이 가지 않는다고 한다.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