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로켓, 키네틱아트, 인공위성 집중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수도 있어요. 따라서 로켓이 똑바로 날아가려면 날개에 균등한 힘이 가해져야 해요.”7월 18일, 탐험대학 로켓 팀이 집중탐험을 하려고 모였어요. 신동윤 멘토는 학생들에게 로켓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며 날개를 정확한 각도로 부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했지요. “로켓을 우주로 날려 보낼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라이브 show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직박구리 데이, 거미 데이 등 총 10건의 온라인 탐사데이를 거치며, 올해 4월부터 7월까지 약 4개월간 총 1만 2866건의 탐사기록이 올라왔어요. 대원들이 올려준 탐사기록은 각 생물종 연구자들이 내려받아 연구 논문 자료로 쓰일 예정이에요. 하반기에도 많은 탐사 응원할게요 ... ...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역대 가장 길고 가장 늦게 끝난 장마로 기록됐다고 발표했어요.올해 초 기상청은 장마가 7월 중순에 끝날 것으로 예상했어요. 그러나 예상과 달리 8월 중순까지 내리 비가 오면서, 장마가 예측보다 한 달 가까이 길어졌어요. 원인은 북쪽의 건조한 공기가 범인으로 지목됐어요. 지난 6월 시베리아에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 사진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올해 7월까지 지구사랑탐사대 8기 대원들이 올려준 탐사 기록 중에서, 생물종별 연구원이 뽑은 베스트 탐사 기록을 선정했어요. 개미부터 조류까지 어떤 생생한 기록이 있는지 다함께 살펴볼까요? ...
- [시사과학] 호박 화석, 연구 윤리 문제에 휘말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없으며, 이는 오쿨루덴타비스가 도마뱀으로 분류될 수 있는 증거”라고 밝혔지요.결국 7월 22일, 징마이 오코너 교수팀은 자신들이 발표한 논문을 철회하기로 했어요. 하지만 오쿨루덴타비스를 둘러싼 논란은 이것 말고도 한 가지가 더 남아있어요. 바로 미얀마에서 호박 화석을 캘 때 일어나는 ... ...
- [쇼킹 사이언스]마블 캐릭터 닮은 곤충이 있다?! 호주 신종 파리 5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좋아하는 친구들 있나요? 아무래도 호주 과학자들도 마블 영화의 팬인 거 같아요. 지난 7월 29일,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 연구팀은 호주에서 새롭게 발견한 생물 165종 가운데 파리 5종에 마블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이 영화 제작자의 이름을 붙여 발표했어요. 5종 중 가장 먼저 소개할 ... ...
- [만화뉴스] ‘겨땀’ 냄새의 원인을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미생물학과 개빈 토머스 교수팀은 액취증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효소 물질을 발견했다고 7월 28일 발표했어요. 액취증은 겨드랑이에서 악취가 나는 증상으로, 겨드랑이에 살고 있는 세균이 땀을 분해해 악취를 내는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나타나요.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해 세균 ... ...
-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TV에서 본 것만큼 많지는 않았어요. 주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은평구청이 9회 차(7월 27일 기준)에 걸쳐 살충제를 뿌리거나 대벌레를 손으로 잡아 방제작업을 했기 때문이에요. 은평구청은 대벌레 개체 수가 줄어들 때까지 방역을 계속할 예정이에요. 하지만, 국립산림과학원은 방제작업에 대해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지금껏 과학자들은 치아 법랑질의 정확한 구조와 특징을 알지 못했어요. 그러다 지난 7월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재료학과 과학자들이 치아 표면의 법랑질을 원자 수준으로 자세하게 촬영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치아를 관찰하는 데에 ‘주사전자현미경’과 ‘주사투과전자현미경’을 ... ...
- [특집] 생물막,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시작하죠.이렇게 붙어버린 세균은 세포 분열을 하면서 작은 군락을 만들어요. 올해 7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분자생물학과 진보양 박사후연구원과 보니 베슬러 교수의 공동 연구팀은 콜레라*의 원인균인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군락이 생물막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관찰했어요. 각각의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