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행
선박 여행
d라이브러리
"
향해
"(으)로 총 1,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감탄사가 연발된다. 달에 사는 토끼는 오래 전부터 열심히 방아를 찧으며 항상 우리를
향해
웃고 있었을는지도 모른다.서양에서는 달의 모습을 보석 목걸이를 걸친 여인의 얼굴로 봤다. 어떻게 보름달에서 여인의 얼굴을 떠올릴까. 보름달을 보면 밝은 부분에서 사방으로 빛줄기가 뻗어나가는 듯한 ... ...
달까지 거리 재는 21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각각 구성된다.레이저의 빛 ‘총탄’을 망원경으로 달 표면에 설치된 반사경을
향해
조준한다. 이때 빛이 달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시간을 재서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원리는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달 표면에 있는 반사경은 여행가방 정도 크기라 ‘사격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옆에 가서 앉도록 교육받는다. 폭발물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절대 물거나 범인을
향해
짖지 않도록 철저히 훈련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탐지견 훈련의 기본은 개와 핸들러(탐지견 지도수) 사이의 철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이를 위해서 훈련은 무엇보다 철저하게 보상 위주로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클 뿐더러 참나무를 비롯한 단단한 나무로 주요부위를 보강한 우리 배로, 일본 배를
향해
‘돌진 앞으로!’를 감행하면 다음 상황은 볼 것도 없다. 꼭 정면 박치기가 아니라 옆면으로 부딪쳐도 결과는 마찬가지다. 우리 배를 만들 때 배의 너비 방향을 고정하고 튼튼히 할 목적으로 장쇠라는 가로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옛소련은 금성탐사에만 전력을 하다가 다시 1969년부터 2년을 주기로 1973년까지 화성을
향해
9대의 탐사선을 발사했다. 이들의 종류는 근접 탐사선, 궤도선, 착륙선 등으로 다양했다. 하지만 어느 것 하나 완벽히 성공하지 못했다. 화성은 금성에서의 놀라운 업적을 올리던 옛소련에게 가혹할 정도로 ... ...
정전기 성의 세관문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안쪽 문을 통과하는 것. 이 문은 눈이 한개인 굄루이 지키고 있네. 괴물의 눈은 항상 문을
향해
있지. 괴물을 물리칠 수는 없네. 덩치가 어마어마하거든. 방법은 괴물의 눈이 문을 바라보지 않고 딴 곳을 볼 수 있도록 유인하는 것일세. 괴물은 돌아가는 물체를 보면 무척 좋아하네. 따라서 뭔가 ... ...
초음파 진단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두가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음과 비슷한 주파수를 가진 작은 소리를 잡아냈다. 또 초음파 테스트기를 수중청음기를
향해
놓았을 때 소리의 크기가 무려 1백데시벨까지 올라가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역에서 전철이 다가올 때와 같은 수준이다.연구팀의 일원인 그린리프 박사는 “태아의 귀 바로 옆에 초음파 테스트기를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차가운 곳일지도 모른다고 천문학자들은 여겼다. 전파망원경이 만들어지자 1961년 수성을
향해
안테나를 맞췄다. 그런데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울 것으로 예상된 수성의 밤 부분에서 금성에서 나오는 것 같은 뜨거운 전파잡음이 포착됐다. 열기를 가진 수성의 밤은 그때까지의 생각을 뒤엎는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중에서 단연 으뜸은 프리킥이다. 수비수 여럿이 쌓은 벽을 앞에 두고 20-30m 떨어진 골대를
향해
둘레가 68-70cm인 작지 않은 공을 힘껏 차면 교묘히 골네트로 빨려 들어가는 마술 같은 기술이 바로 프리킥이다.브라질의 호베르투 카를로스, 잉글랜드의 데이비드 베컴, 포르투갈의 루이스 피구 등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산소를 발생시키고, 밤에는 주변의 탄산칼슘 알갱이를 포획한다. 다시 날이 밝으면, 빛을
향해
자라는 성질이 있는 시아노박테리아는 포획한 탄산칼슘 알갱이 위에서 광합성작용을 시작한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포획된 탄산칼슘 알갱이는 얇은 층을 이루며 층층이 쌓이게 된다.오늘날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