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
행성
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박사팀이 NEO 관측을 시뮬레이션해 지난해 미국
행성
천문학회지 ‘이카루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현재 관측시설과 감시방법으로는 크기 1km 이상의 NEO 가운데 90%는 2010~2011년에야 발견할 수 있으며 약 8%는 2016년 이후에도 찾기 어렵다.그렇다면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궤도로 도는 그림을 상상한다. 멋지기는 하지만 사실은 약간 다르다. 전자는 태양계의
행성
처럼 도는 게 아니라 원자핵 주변의 공간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돌아 마치 구름처럼 보인다. 쥐불놀이를 할 때 깡통을 빨리 돌리면 불꽃 링으로 보이는 장면을 연상하면 된다.원자가 수소인지 산소인지를 ... ...
2009년은 우주와 함께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찾는 임무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이 계획이 성공해 태양계 밖에서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
을 발견한다면 2009년은 또 하나의 위대한 성과가 이루어진 해로 기록될 것입니다."2009년은 천문학과 함께"마지막으로 고호관 기자입니다. 저는 올 한 해 동안 국내외에서 펼쳐질 다양한 행사를 소개해 ... ...
[천문우주]화성은 살아있다! 메탄 발견으로 드러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화성의 메탄이 생명활동 때문이든, 지질과정 때문이든 이번 발견은 화성이 죽은
행성
이 아니라는 뜻”이라며 “지금도 화성에선 메탄이 분출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토성 위성 타이탄에 비가 내리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소화시킬 때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한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다는 내용을 미국
행성
천문학회 학술지 ‘이카루스’에 발표한 적이 있다.“타이탄 표면은 영하 180℃로 엄청나게 추운 곳이라 박테리아가 존재하진 않을 것 같아요. 호수 바닥에서 꾸준히 유입된 라돈 가스 같은 방사능 물질이 에탄과 ... ...
[천문우주]태양계 밖
행성
서 이산화탄소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산화탄소 같은 유기화합물은 생명 현상의 부산물일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지구형
행성
에서 같은 방법으로 생명체의 증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NASA는 2008년 3월 HD 189733b 대기에서 수증기와 메탄을 발견한 적이 있다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0% 이상 증가했다. 그야말로 견공(犬公) 의 ‘전성시대’다.하지만 저 멀리 다른
행성
에서 온 존재들처럼 사람과 개는 서로에 대해 모르는 점이 많다는데….우리집 개는 과연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3매주 일요일 SBS에서 방영하는 ‘TV 동물농장-新개과천선’에는 ‘천방지축’ 제멋대로인 ... ...
[지구과학]우주에 작용하는 힘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과학고와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래탐구학원에서 지구과학과 물리를 기반으로 한 논구술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중·고등학교 과학의 교육과 ... 위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소
행성
의 만유인력이 태양의 기조력보다 커야 한다. 즉 소
행성
의 질량을 x라고 하면 이므로 최소 질량은 2M⊙(d/s)3이다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탄생과 진화 과정을 정확히 알아내고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며 외계
행성
계와 생명의 탄생을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발견의 학문인 천문학에서는 어떤 망원경을 가졌는지가 경쟁력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장 큰 망원경이 지름 1.8m에 지나지 않아 천문학 환경이 열악한 ... ...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2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남쪽물고기자리 1등성 포말하우트 주변을 도는 포말하우트b라는
행성
을 촬영했다.암 게놈 연구약 2년 전 처음 시작된 암 게놈 해독 프로젝트가 2008년 첫 결실을 얻었다. 지난 한 해 동안 과학자들은 췌장암과 신경교아세포종 같은 다양한 암세포의 염기서열을 해독해, 발암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