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물"(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2일본발 방사능 괴담이 무섭다. 2년 전 원전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에서는 고농도의 방사능 오염수와 뒤섞인 지하수가 하루에 300t씩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9월 11일 원전 저장탱크 인근에서 지하수를 조사한 결과 삼중수소(트라튬)에 의한 방사능이 지하수 1L 당 9만 7000베크렐이 검출됐다. 3시 ... ...
-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지구 생물 역사에서, 중생대의 육상은 상당히 특이하다. 땅 위에서 눈에 띄는 대형 척추동물은 거의 대부분 공룡이었기 때문이다. 만약 사람이 이 시대를 방문했다고 해보자. 대한민국에서 아무나 붙잡고 성을 물으면 거의 다 김, 이, 박 세 성 중 하나인 것처럼, 당시 육상 대형 척추동물은 만났다 ...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축을 둘러싼 둥그런 산호초(환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으며 환초로는 세 번째로 크다(가장 긴 환초는 뉴칼레도니아 환초며, 직선으로 가장 긴 산호초는 호주의 대산호초다). 축의 산호초는 한곳만 태평양을 향해 살짝 열려 있다. 2차 대전 당시 미국 항공모함이 이곳을 막으면서 일본군이 섬을 빠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000억은 큰 수다. 우리은하 안에 있는 별의 숫자가 대략 그 정도다. 그런데 인간은 모두 머릿속에 이 큰 수를 품고 있다. 바로 뇌 안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의 수다.하지만 뇌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신경세포가 아니다. 이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이다. 대뇌의 가장 바깥 조직인 신피질에 있는 200억 개의 ... ...
- [life & Tech] 착한야식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해가 서산으로 넘어가네요. 밤이 되니까 머리가 맑아지기 시작합니다. 아무래도 날마다 저를 괴롭히는 올빼미 기질이 또 발동하는 모양입니다. 다행히도 내일부터 주말입니다. 마음 놓고 ‘불금’을 달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금에 빠질 수 없는 야식도 꼭 챙겨서 돌아가야겠습니다. 『한 밤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야기 하나양강 땅에 큰 부자가 살았다. 아들은 없고 십 오륙 세 되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시름시름 앓더니 명의를 모두 불러 보여도 차도가 없었다. 병을 고치면 만금을 주겠다는 방을 걸자 소문을 듣고 어중이 떠중이들이 몰려들었으나 당연히 병은 더 나빠지기만 했다.그때 누군가 부자에게 도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드디어 점심시간이야! 아침부터 이 시간을 얼마나 기다렸는지 몰라.오늘 점심시간은 좀 특별하거든. 급식실을 공사하는 바람에 우리 반 친구들이 모두 도시락을 싸 오기로 한 거지. 우리 반엔 다문화가정 친구들이 몇 명 있어서, 색다른 도시락 반찬이 있을게 분명하다고. 내 반찬과는 뭐가 다를까,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의 세상엔 빨간색이 없다‘개는 흑백으로 본다’는 말은 개에 대한 가장 흔한 오해다. 하얀 눈이 쏟아지면 폭죽이 터지는 것처럼 보여 팔짝팔짝 뛴다고 하지만 이는 단지 발바닥이 차가워서다. 실제로는 빨간색만 못 본다. 사람 망막에 있는 ‘원추세포’는 종류에 따라 파란색(파장은 440nm)과 초 ...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국내 최초 쇄빙선 ‘아라온호’는 거대한 얼음이 뒤덮인 극지 바다를 누빈다. 남극 탐사에 이어 내년에는 북극항로 개척에도 나설 계획이다.한때 ‘꿈’으로만 여겼던 쇄빙선이 이렇게 대한민국의 위상을 드높이기까지 수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그 중 하나가 극지 얼음을 재현해 쇄빙선의 능력을 ...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무지개가 풀어 헤쳐졌다’17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무지개는 예술가와 철학자의 로망이었다. 그러나 그 환상은 영국이 낳은 천재 과학자 뉴턴에 의해 산산조각났다. 뉴턴은 좁은 틈으로 들어오는 빛을 간단한 실험도구인 삼각 분광기를 이용해 ‘쪼개’는 단순한 방법으로 무지개를 한갓 빛의 장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