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친구"(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아니야! 왕의 귀는 정말 크고 길쭉하게 생겼어요. 가까이서 보니 마치 꿀록 탐정의 친구인 당나귀의 귀를 닮아 있었죠.‘아, 왕자의 아버지가 바로 그 유명한 당나귀 귀 임금님이셨구나….’꿀록 탐정은 최대한 임금님의 귀를 보지 않으려 노력하면서 말했어요.“어떤 일로 부르셨습니까, 전하 ...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어과동 친구들~. 나는 과학마녀 일리야. 푸푸에게 수학 공부를 시키고 한숨 자고 일어났더니, 글쎄 정답을 다 맞힌 거야. 칭찬을 많이 해줬더니 푸푸가 찔렸던지 지나가던 꿀벌이 답을 알려주고 갔다고 고백하더라고. 아니, 꿀벌이 수와 기호의 개념을 안다니…. 너무 놀라워서 어찌 된 일인지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화에 이어 앵무새 ‘앵두’를 키우는 친구의 사연을 하나 더 들어 볼게요. “지금은 앵두가 밥 잘 먹고, 똥 잘 싸고, 저희와 잘 어울려 놀긴 하는데…. 새들은 아픈 걸 잘 숨긴다고 들었어요. 혹여나 제가 눈치채지 못하고 넘어간 것들이 있진 않을까요?” 손질을 할 땐 조심조심!반려새는 야생의 ... ...
- 기생충으로 역사 탐험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안타깝기도 해요. 고래회충을 1~2마리 먹었다고 인간에게 큰일이 벌어지진 않거든요.혹시 친구들 몸에서 기생충이 발견되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기생충과가 있는 병원에 찾아가거나 기생충 연구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면 대처 방법을 알려줄 거예요. 그대로만 하면 별 문제없이 기생충을 몸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디지털 회로를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답니다. 골을 막을 확률은 1/3! 섭섭박사님과 친구는 서로 돌아가면서 세 번씩 승부차기 대결을 벌였어요. 결과는 섭섭박사님의 패배! 언젠가 섭섭박사님도 라보로 만든 대결 게임에서 이기는 날이 오겠죠?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가족이나 친구와 나눈 카톡에서, 혹은 인터넷 댓글에서 다양한 표정으로 울고 웃는 노란색의 동그란 얼굴을 본 적 있나요? 이것이 바로 ‘이모지’랍니다. 이모지는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림 문자예요. 표정은 물론, 동물, 음식, 운동, 물건, 깃발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지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여기에 ‘소리를 재생’ 블록을 넣어 넘어지면 소리가 나는 코드를 완성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열심히 고무줄 총을 만들고, 아이팝콘 앱에서 차근차근 명령어를 입력했어요. 아이팝콘 앱에서 스크래치를 실행한 다음 ‘깃발을 클릭했을 때’, ‘무한 반복하기’, ‘만약 가속도 ...
- 이모지(Emoji)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세상에 온 걸 환영해! 노란색에 동그란 얼굴의 이모지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만난 친구들이 많을 거야. 일본에서 태어난 우리는 지금은 미국에서도,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 우리가 널리 쓰인 지도 벌써 20년!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지금은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돌아가는 길에 각자 생각해보도록 해요.”실험에 참여한 김진하 친구는 “치약에서 실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을 때 조금 놀랐다”며, “나중에 우리가 마시는 생수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는지 알아보고 싶다”며 소감을 말했어요. 도움신관우(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위해 우유와 설탕을 섞어 끓인 용액을 식히지 않고 냉동실에 바로 넣었는데, 식혀서 넣은 친구들의 것보다 더 빨리 얼었다. 음펨바는 고등학교 진학 후 한 강연에서 만난 물리학 교수인 데니스 오스본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줬고, 오스본 교수는 대학으로 돌아와 이 현상을 재현한 뒤 1969년 연구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