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특성을 알려주는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다. 토양층이 잘 발달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층은,
지표
에서부터 O층 A층 B층 C층 R층으로 구분된다.토양층은 토양의 특성에 따라 보다 세분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은 갈색산림토의 경우에는 야외에서 명확한 층분화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O층은 ... ...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위해 베어지고 토양파괴는 심화됐다.식생이 사라지자 태양광선의
지표
반사율이 증가해
지표
층의 공기가 대류현상을 일으킬만큼 가열되지 않게 되었다.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강수량이 더욱 줄어 가뭄이 심화됐다. 설상가상으로 부패한 정부관리들이 원조곡물을 중간에서 착복해 어려움을 ... ...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노출되면 불안정하게 되어 암석을 구성하는 원래의 광물들은 물과 반응하여 분해되고
지표
에서 안정한 광물들이 새로이 만들어진다.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은 대체로 그 입자의 크기가 맨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큰것과는 반대로 이것들이 풍화되어 만들어지는 새 광물들은 그 입자의 크기가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천연식품 가공방법을 활용해 왔던 것이다.조상의 과학적인 지혜는 우리의 연구
지표
를 새롭게 설정해주고 있다. 최근에 와서 여러 식품관련 효소가 개발돼 올리고당(oligosaccharides) 등 다양한 가공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앞으로 계속 식품가공과 효소는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둘째로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수 있고 이에 따라 지구다이나모의 힘에 변화를 줄 수 있다.생명체들이 붙어서 살고있는
지표
라는 깨지기 쉬운 층 밑엔 정말 연구해볼 가치가 있는 지구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맨틀과 핵이 있다는 것이다. Mantle And CoreWorried about the economy? Politics? The apparently ineradicable ten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1백분의 1 이하) 이산화탄소가 95% 이상. 나머지는 질소 아르곤 산소 등으로 이루어졌다.
지표
면의 온도는 보통 -50℃ 이사지만 어느 때 따뜻한 곳은 30℃까지 올라가는 곳도 있다. 과연 이 온도 변화의 원인이 무엇일까를 연구하는 학자들도 있다. 기본적으로는 대기가 없어 온도변화가 심하지만 먼지가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루는데, 이곳 주민들은 '카렌스'라고 하는 지하수로를 만들어 사막에 관개한다.
지표
면은 바람에 침식돼 마치 버섯모양의 토주(土柱)를 이룬 기기묘묘한 경관을 나타내는데, 이곳 사람들은 이것을 용퇴(龍堆)라고 한다. 이곳에 있는 타클라마칸사막은 이곳 말로 '모래의 바다'란 뜻인데, 여기에는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썰물 때 노출된 똥의 덩어리는 밀물 때 조류가 밀어낸다.따라서 썩은 모래질은
지표
면으로 되돌려지는 결과가 되고, 집을 통해 물이 유통되므로 갯지렁이류가 서식하는 대부분의 간사지는 자연스럽게 정화된다. 특히 서해안의 광활한 갯벌속에 대군을 이루는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들은 바닥을 파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상상 하는 것 이상이다.우선 대류권(약 15㎞ 상공 이내)에 전체 오존량의 10% 가 존재한다.
지표
면에 가까운 대류권의 오존량은 적을수록 좋다. 그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체에, 특히 호흡기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산업화 이후 대류권의 오존량은 두배 이상 늘어난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물론 EXPO 기간 중에는 1~1.5km에서 부여받은 임무를 수행한다.대류권(보통 지상 12km까지)은
지표
면과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대기의 상하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최소한 이 권은 넘어야한다는 것이 선결과제. 12km를 넘어서도 제트기류 등의 복병이 도사리고 있지만 성층권(12-80km)은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