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것만으로 간단히 진단할 수 있게 됐다. 그만큼 환자와 의사의 수고도 줄었다.CT는 인체
주위
를 돌면서 X선을 투사한 뒤 그것이 투과된 정도를 컴퓨터로 분석해 내부의 자세한 단면을 보여준다.그런데 X선에 자주 노출되면 건강에 안 좋다는 인식 때문에 인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한 MRI라는 의료영상이 ... ...
자외선과 형광안료가 빚어낸 색채의 향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290~400nm 정도로 짧으며 사람 눈에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블랙라이트를 무대에 비춰도
주위
는 어둡게 보인다. 그러나 형광 안료를 바른 물체에 블랙라이트를 비추면 안료가 자외선을 흡수한 뒤 그보다 파장이 긴 가시광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녹색이나 청색, 황록색 같은 선명한 색을 띤다.빛이 갖는 ... ...
안개 속에 감춰진 공포의 진실 미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빈 구멍으로 된 동물을 뜻한다. 히드라는 원통형 몸의 끝부분에 입이 달려있고, 그
주위
로 5~7개의 긴 촉수를 가지고 있다. 촉수는 먹이를 잡아 입에 넣는 역할을 한다. 대개 히드라는 풀잎이나 물속 나뭇가지에 붙어살면서 미생물을 잡아먹는다. 히드라는 그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그리스신화에서 ... ...
신의 눈 피라미드부터 크롭 서클까지 미스터리의 장(場)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이 같은 아픔을 겪었다. 니콜라스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태양이 지구
주위
를 돈다는 천동설이 틀렸다고 비판하며 지구가 태양 둘레를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했다. 지동설이 처음 나왔을 때 두 과학자는 재판에 회부되고 그들의 저서는 모두 불에 타 한 줌의 재가 됐다. 그러나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전자들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시간을 이용한답니다. 수소원자에서 전자가 원자핵
주위
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50아토초예요. 이 150아토초를 찍을 수 있는 사진기만 있다면 전자의 움직임도 찍을 수 있다는 거죠. 이런 작은 움직임을 알아 내면 원자를 조립하거나 분해하는 일도 가능해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 물체(천체)를 관측할 때 보이는 위치가 배경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하는 정도태양
주위
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선을 누비며 조류 채집에 열중한 영국대사관 영사 캠벨은 “따오기 스무 마리 정도는
주위
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사냥총으로도 쉽게 잡을 수 있다”고 회고했다. 이미 이때부터 따오기의 수난시대가 시작된 셈이다. 따오기는 1980년 이후 한반도에서 자취를 감췄고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천수만 일대에 대한 보호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신두리 해수욕장
주위
로 고온, 고압으로 물을 내뿜어 바위나 모래에 엉겨 붙어 있는 기름을 없애는 고압세척기가 42대 배치됐다. 그러나 뜨거운 물을 뿌려대는 고압세척은 부작용이 크다는 우려가 높다. 기름을 생분해할 수 있는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 녀석은 평소에는 정상 생쥐와 구별이 잘 안 된다. 그런데 캅사이신을 투여하거나
주위
온도를 높였을 때는 행동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물에 캅사이신을 탈 경우 정상쥐는 한번 마셔보고는 질겁하고 다시는 입을 대지 않은 반면 TRPV1이 없는 쥐는 맹물과 마찬가지로 벌컥벌컥 마신다.한편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편측성핵하성마비(片測性核下性痲揮) 1927년에 G 레이몬드가 두개저(頭蓋底) 또는 그
주위
에 발생한 악성종양이 두개저열구(頭蓋底裂口)에 침입함으로써 뇌신경이 편측성으로 핵하성마비를 초래한다고 보고했다 다극관의 제어그리드와 양극 사이에 두는 비교적 눈이 작은 그리드 상호 전도도를 거의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