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모습
본색
본성
본심
침체
신원
동일
d라이브러리
"
정체
"(으)로 총 1,835건 검색되었습니다.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석유 소비는 앞으로 연평균 1.2-2.4% 늘 것으로 보이는데 생산이
정체
돼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면 석유 대란이 시작된다는 것이다.일부에서는 석유 대란이 30년 뒤에나 찾아올 것이라고 낙관한다. 미국지질연구소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석유가 많아 2037년에 석유 생산이 정점에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혈관성장인자)와 그 유전자를 찾아냈다. 포크만 박사가 분리한 혈관신생 촉진 단백질의
정체
를 밝힌 셈이다. 페라라 박사는 암세포가 정상세포보다 혈관성장인자를 많이 분비해 증식하는데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을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혈관성장인자가 많을수록 암조직이 ... ...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편에선 공사가 한창이었다. 흡사 주유소를 본딴 듯한 이 건물의
정체
는 올 10월 1차 완공을 앞두고 있는 ‘한국형 수소충전소’. 국내에선 처음으로 설립되는 수소제조시설이자 수소차량전용 연료공급 시설이다. 차세대 에너지로 지목되고 있는 수소의 제조, 저장 기술이 이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설계할 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완공 후 예상외로 차들이 몰려 상습
정체
구간이 된 도로를 허둥지둥 확장하는 땜질 공사도 줄어들 것이다.서울대 연구팀의 참신한 아이디어로 개발된 새로운 교통흐름 모델이 우리나라의 복잡한 도로 상황을 족집게처럼 속시원히 예측할 수 있는 ... ...
참말하는 기사와 거짓말하는 건달의 논리 대결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4부류의 관계가 1:1이어야 한다. 또 문제에는 한사람의 대답만으로 본인은 물론 배우자의
정체
를 알 수 없다고 했다. 따라서 2조건에 부합하는 대답이 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표를 만들어보자. 그리고 (예, 예)를 임의로 (기사부인, 기사남편) 커플에 놓아보자.2번째 조건에 만족하려면 (예,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정체
성 외에 또다른
정체
성을 가지려는 성향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새로 만들어진
정체
성은 사이버 공간에서 존재할 뿐 아니라 인간의 두뇌 안에도 존재한다. 결국 사이버 공간은 모니터 저편에 보이지 않는 세계가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정신세계가 합해져 만든 공간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 ... ...
기계가 정말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로봇 ‘써니’ 는 인간과 모습이 흡사함은 물론이고 “나는 누구인가요?”라며 자신의
정체
성까지 고민한다. 인간과 기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든다.그런데 도대체 로봇이 생각한다는 영화의 설정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일인가? 로봇이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 지식을 쌓고 스스로를 진화시키는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란 무의미하다. 왜냐하면, 현실 세계는 일관되고 단일한 모습만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정체
성을 둘러싼 현실과 가상 공간의 논란은 바로 여기에서부터 시작됐다.사이버 공간에도 왕따는 있다지난 5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다른 네티즌들의 집중적인 비난을 받았던 20대가 투신자살하는 일이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천체,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은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하늘을 쳐다보기 시작하면서 그
정체
가 밝혀졌다. 그 천체들 중 일부는 별들이 모인 산개성단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이때부터 페르세우스 이중성단도 성운이 아닌 성단으로 취급됐다.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이란 이름이 붙은 이유는 ... ...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게 아닐까. 비록 귀신이지만 다시 살아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사실 NGC6369의
정체
는 ‘작은 귀신’ 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태양과 비슷한 별이 생애를 마감할 때 보여주는 ‘행성상 성운’ 이다. 행성상 성운은 별의 바깥부분이 부풀어올라 주변으로 날아가 버리고 중심부가 백색왜성이 돼 마지막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