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d라이브러리
"
작용
"(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이가 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대로 후성발생을 믿은 사람들은 세포 안의 ‘화학
작용
’이 발생 방향을 지시한다고 추측했다.두 학설의 대립은 19세기 후반에 끝이 났다. 현미경이 발달하면서 생식세포가 피부세포나 뇌세포가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리 몸이 공포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신경신호를 중계하는 것이다.편도체의 이런
작용
은 태어날 때부터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자라면서 경험을 통해 특정 물체 및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공포 조건화’라 한다. 공포 조건화는 오래 전부터 연구돼 왔다. 1920년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그릇에 담는 과정에서 무너져버릴 수도 있다. 거품이 잘 터지는 건 거품 주변에 힘이
작용
하기 때문이다. 거품 바깥에 있는 주변 공기는 안으로 밀어내고, 거품 안쪽의 공기는 바깥으로 나가려고 한다. 또 거품 표면에는 물 분자가 서로 잡아당겨 표면적을 줄이려는 힘(표면장력)이 있다. 결국 이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물리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중력장이란 것은 실체가 아니고 물질들 사이의 상호
작용
을 나타낼 뿐이라는 관점이다. 둘째, 이원론적 해석에서는 시공간은 중력장과 같으며, 물질은 중력장을 만드는 원천이라고 본다. 물질과 시공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보는 것이다. “물질은 시공간이 어떻게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단단한 부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침식이 일어나면 단단한 부분이 골무나 모자처럼
작용
해서 그 아래의 석회암을 보호한다. 이 부위는 침식에 좀더 오래 견뎌 남게 되고, 단단한 모자가 없는 주변은 먼저 침식된다. 실제로 잘린 피너클을 보면 나뭇결 무늬가 보이기도 해 이 이론이 그럴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바닷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약 830배나 크기 때문에 한 번 움직일 때 그만큼 큰 힘이
작용
해요. 커다란 기둥이 바다 한가운데 있으면 계속 파도에 부딪혀 충격을 받게 되지요. 하지만 다리를 이용하면 다리를 제외한 플랫폼 아래가 비어 있기 때문에 파도가 플랫폼 아래를 자유롭게 통과하게 돼요. 이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놀자”라고 하면 축구공을 떠올리는 연상
작용
을 한다. 장 교수는 “이 같은 연상
작용
이 거듭되면 지능이 창발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그러나 장 교수는 “현재 발표된 창발 현상의 일부는 기계가 우연히 내놓은 결과를 사람이 자의적으로 ‘지능이 생겨났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모든 의과학 분야에서 안 쓰는 곳이 없습니다. 레이저는 빛 중에서도 생체조직과 상호
작용
이 가장 잘 일어나거든요. 라식수술과 같은 시력교정수술을 할 때 레이저로 각막을 깎아 내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레이저메스라고 해서 수술용 메스 대신 사용하기도 합니다. 뇌나 간은 수술할 때 ... ...
매운 맛, 통증완화제 개발 길 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통각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를 원자 수준에서 밝혀, 캡사이신을 대신해 진통
작용
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통증완화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진은 “이 연구를 통해 캡사이신보다 통각 수용체와 더 강하게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하더라도 의문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단백질은 100개 가까이 되는 아미노산들이 상호
작용
으로 연결된 거대한 구조물이다. 이 구조가 조금이라도 바뀌면 단백질은 그 특성을 잃는다. 단백질이 pH나 온도에 따라 쉽게 변하는 것도 구조가 바뀌기 때문이다. 그런데 화장품의 유통기한은 최소 6개월,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