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SCI)급 저널에 실린 논문의 수다. 논문 수를 따지는 R&D 평가 방식이 자리 잡으면서 긍정적인 영향도 나타났다. 2001년 한 해에만 SCI급 저널에 게재된 국내 논문은 1만5896편으로 점유율은 1.63% 수준이었다. 하지만 이 수치는 차츰 늘어나 2015년에는 5만 7626편이 게재됐고 점유율도 3.78%로 늘었다. 2014년과 2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모형에 따르면 제 기능을 못하는 세포를 없앨 경우 끊임없이 분열하는 세포가 그 자리를 차지해 암세포로 발전할 수 있어요.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온라인판 10월 30일자에 실렸답니다. 아메바: 왕성하게 분열하는 세포를 없애도 기능이 둔화된 세포가 많아져 생물이 빠른 속도로 늙어가요.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9월, 영국 남부에 자리 잡은 브라이튼에서는 과학축제 ‘브리티시 사이언스페스티벌(British Science Festival)’이 열렸다. 브리티시 사이언스 페스티벌은 영국과학진흥회(BSA·British Science Association) 주관으로 1831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영국 최고의 대중 과학 행사다. 올해 축제의 스포트라이트는 일레인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습의 돌연변이 초파리 한 마리를 발견했습니다. 바로 머리 위 더듬이가 있어야 할 자리에 다리가 있는 돌연변이였죠(아래 사진). 훗날 과학자들은 다리쪽에서 발현되는 ‘안테나페디아(Antennapedia)’ 유전자가 돌연변이로 인해 머리쪽에서 발현되면 머리에서 다리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밝혀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속 능아연석의 고향은 추메브 광산이다. 추메브 광산은 아프리카 남서부 대서양 연안에 자리 잡은 나라인 나미비아의 북부에 있다. 구리, 납, 아연, 은, 게르마늄 등의 광물이 주로 채굴된다. 지금까지 추메브 광산에서는 3000만t(톤)에 이르는 광석이 채광됐다. 추메브광산에서 나온 광석은 별도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환자들을 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느껴졌다고 밝힌다. 또,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 자리에서 누군가 “게놈 편집한 생물이 유전자 재조합 생물인지 아닌지 답해주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겠다!” 고 외쳤는데, 과학자들이 눈치만 살폈다는 이야기도 담았다. 그만큼 논란이 많다는 뜻이다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숨겨줄 사진의 픽셀 하나에 숫자 24개를 모두 숨길 수는 없어요. R 값, G값, B 값의 끝자리 하나만 바꿀 수 있으므로 3개만 숨겨줄 수 있지요. 즉, 픽셀 한 개를 숨기려면 8배 많은 픽셀이 필요한 셈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해 모나리자의 픽셀 8개에 생뚱맞은 ‘사과’의 픽셀 1개를 숨겨 볼까요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현재 금융, 의학, 교육, 쇼핑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며 IBM의 주요 매출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양자컴퓨터는 왓슨의 ‘후계자’ 격이다. IBM은 5개 큐비트로 구현한 양자컴퓨터 ‘IBM Q’를 개발해 올해 3월 자사 클라우드에 공개했다. IBM은 구글과 마찬가지로 초전도 상태의 양자를 큐비트로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부담감 등으로 결국 제안을 거절했다(이렇게 또 한 명이 노벨상에서 멀어졌다). 대신 그 자리에 드레버 교수를 추천했고, 이렇게 드레버 교수는 1984년 캘리포니아공대로 옮겨 본격적으로 레이저 간섭계를 개발했다. 올해 수상자가 됐을 뻔한 드레버 교수는 안타깝게도 치매로 고생하다가 올해 3월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69는 측정불확도다. 상대불확도는 1.0×10-8이다. 쉽게 말하면 플랑크 상수의 소수점 8째 자리까지는 정확하게 알고 있는 셈이다. 측정불확도측정값은 측정환경이나 측정기기의 분해능 등의 한계로 항상 불확실성을 갖게 된다. 그 정도를 표준편차, 표준오차 또는 다른 정보에 근거해 가정한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