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얼음 위의 물리학, 컬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진행되는 경기지만, 다른 종목과 빙판의 특성이 매우 다릅니다. 스케이트와 같은 일반적인 경기들이 매끄러운 얼음에서 진행되는데 반해, 컬링은 표면에 ‘페블(pebble)’이라는 작은 알갱이들이 있는 빙판에서 진행됩니다. 이 알갱이는 얼음 위에 물을 분사해 만듭니다. 그렇게 만든 표면은 마치 ...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시뮬레이션해 보면 피난 루트가 적어도 3~4개가 확보돼야 한다. 따라서 현행 건축법은 일반음식점, 제과점, 휴게음식점 등 25개 다중이용업소 업종의 경우 주 출입구를 제외한 비상구를 1개 이상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런 출입문은 양방향으로 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필로티(Pilot·i벽이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러스트에서 후발주자”라며 “3차원 기술이나 증강현실 등을 활용해 의대생이나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러스트를 제작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학 서적을 주로 출간하는 출판사에서 10여 년간 의학 일러스트를 꾸준히 그려온 오제훈 씨는 “새 학기부터 연세대 의대에서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3D8)를 찾아낸 다음, 이를 활용해 일반 항체의 6분의 1 정도인 미니항체를 만들었다. 일반 항체는 단백질 항원을 찾아서 방어하지만, 미니항체는 항원이 단백질로 발현되기 전 단계인 핵산을 인지해 분해한다. 항원 형성 자체를 막는 것이다. 실험 결과 미니항체를 가진 닭은 AI 바이러스가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진 전문가들은 전문적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로부터 자주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는다. 그런데 2009년 결국 문제가 발생했다.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일곱 명의 지진 전문가들이 “부정확하고 불완전하며 모순되는 정보를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면접이라고 할 수 있다. 밀웜이 궁금해 실험했던 학생이 가장 인상적2018학년도 POSTECH 일반전형 면접은 2가지로 진행됐다. 주어진 문제를 읽고 20분 동안 준비를 한 뒤 답하는 ‘사고력 면접’과, 고등학교 생활에 초점을 맞춰 질문하는 ‘잠재력 면접’이다. 면접관 2명이 학생 1명을 평가하며 면접에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영향을 많이 받았죠. 미야자키는 자신의 작품 철학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메카닉물★은, 주인공이 자신이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거대한 기계를 타고 적과 싸워 이기는 내용이다. 나는 이런 작품은 싫다. 어떤 로봇이라도 좋은데, 주인공이 힘들여 만들고 고장 나면 직접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것이 주된 목적이다. 원리는 고깃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환풍기와 유사하다. 다만 일반적인 환풍기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해 대류현상을 유도하는 반면, 이번에 실험한 에어커튼은 화재가 난 내부의 연기, 즉 농연을 순환시킨다. 외부의 산소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산소 농도가 올라가면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최대 4cm까지 들썩거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시뮬레이터에 국가대표 루지 선수와 일반인 7명을 탑승시킨 뒤 작동하는 동안 나타나는 다리 근육의 활성도를 근전도검사기로 측정했다. 인체가 시뮬레이터를 얼마나 사실적으로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분석 결과 허벅지 앞부분의 길게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수 있도록 선수의 몸을 축소한 모형을 3D 프린터로 제작했다. 과거에는 사이즈만 축소한 일반 모형으로 실험해서 최적의 자세를 찾았는데, 선수마다 신체 특징이 달라 연구 결과가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선수의 몸과 자세를 그대로 표현한 모형이 필요한 이유다. 연구팀은 선수가 직접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