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말초신경과 달리 중추신경은 현대의학에서 절대 재생이 안 되는 부위”라고 말했다.
인류
최초의 이식 수술은 61년 전인 1954년에 이뤄졌다. 미국의 외과의사 조셉 머레이가 유전자가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 사이의 신장 이식을 성공한 것이다. 1962년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신장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중독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김 박사는 “뇌는 이성적이면서 감성이 풍부한 덕분에
인류
문명을 발달시켰지만, 현실과 가상세계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면서 “게임이나 스마트폰 같은 가상세계보다 운동처럼 현실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를 찾으라”고 조언했다. 그는 “혼자보다는 여럿이 함께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언제부터 두 발로 걸었을까? 학계에서는 약 500만 년 전
인류
가 원래 살고 있던 숲에서 나와 멀리 이동하면서부터라고 추측한다. 험한 지형을 기어오르고 먼 곳까지 바라보기 위해서 일어나게 됐다는 주장이다. 학자들은 동물과 사람이 네 발 또는 두 발로 걷는 방식을 수학모형으로 만들어 연구했다.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관측하게 되면 우주를 보는
인류
의 시야가 획기적으로 넓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블랙홀이다. 광학망원경이나 전파망원경처럼 빛을 이용해 관측할 수 없던 블랙홀도 중력파를 이용하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중력파 관측소는 미국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생선절임이 단연 손에 꼽힌다. 상하기 쉬운 생선에 소금을 쳐서 보관하면서
인류
는 짠맛에 더욱 길들여졌다. 최 이사는 “소금 섭취량이 가장 많았던 시대는 15세기 스웨덴”이라며 “1인당 연간 소금 섭취량이 무려 100g에 달했는데 소금에 절인 생선을 많이 먹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거꾸로 소금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이 그리스인들의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Q 한국의 미래
인류
학자들에게A 역사와 고고학을 열심히 공부하길 바란다. 과학적인 질문을 첨단 기술로 분석하는 연구에도 이런 인문학적 지식이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자신의 일을 사랑하길 바란다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람들의 이목을 잡아끌려는 속셈도 분명히 있을 것이다.2. 리얼 쿡방? 연출이 반이다요리
인류
키친은 매회 세계 각지의 특별한 음식과 음식에 담긴 역사,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사람들이 평소에 먹어보지 못한 음식이 대부분이라 시청률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PD는 “대신 맛과 모양을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인류
가 처음으로 태양계의 끝 명왕성과 조우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7월 14일 오전 7시 49분 57초(한국시간 오후 8시 49분 57초), 명왕성 최근접점을 빠르게 지나쳤다고 밝혔다. 2006년 1월 19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아틀라스 V-551로켓에 실려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9년 전 지구를 떠난 미국의 뉴호라이즌스 호가 한국 시각 7월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에 태양계 외곽에 있는 명왕성에 약 1만 2550km 거리까지 접 ... 그에 따른 과학기술 역시 제자리에 멈춰 서 있지는 않을 것이다. 언젠가 아주 먼 미래엔
인류
가 ‘제2의 지구’ 땅을 밟게 되는 날이 오지 않을까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늘 ‘
인류
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말해왔다”며 “비록 생활에서는 쓰지 않는 숫자지만
인류
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남아있을 숫자를 정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