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봉인해제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매디슨대 요시히로 가와오카 교수팀이 H5N1 바이러스 표면의 헤마글루티닌 단백질
유전자
를 조작해서 결과를 얻었다. 유사한 연구를 진행한 네덜란드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 론 푸히르 교수의 논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두 편의 논문으로 ‘득이 될 수도 독이 될 수도 있는’ 연구에 대한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함께 있는 것처럼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2003년 완성된 인간의
유전자
지도를 만드는 연구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서 2010년 새로 시작된 인간의 머릿속 신경 지도를 그리는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의 중요성과 세계 ... ...
조각 낼 때마다 분신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박사님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편형동물인 지렁이를 관찰했대요. 지렁이는 이 특별한
유전자
가 없거든요. 그래서 지렁이는 몸을 자르면 바로 죽는답니다.나에게도 불멸의 방법을 알려 주겠니?과학자들은 우리들이 영원히 죽지 않는다고 믿고 있어요. 그래서 우리를 연구하면 나이가 들어도 건강하고,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결과는 희망적이었다. 사람이 잃어버린
유전자
중에서 붉은털원숭이가 아직 지니고 있는
유전자
는 하나에 불과했다. 2500만 년 동안의 변화가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것이다. 앞으로도 이런 비율을 유지한다면 1000만 년 동안 Y염색체가 사라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당분간 Y염색체는 안전하다.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발전하고 있다. 먼 미래에는 우리 뇌의 잘못된 연결이나 끊어진 연결을 재생시킬 수 있는
유전자
치료나 줄기세포 치료 방법이 개발돼서 뇌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복근을 도드라지게 보일 수는 있지만 정확하게 6개를 만드는 것은 부모님에게 물려받은
유전자
에 달려있는 것이다.➋ 복근은 마라톤 근육, 꾸준히 운동해야 나타나 성질 급한 원 대리는 한 달간 복근 운동을 했음에도 식스팩이 나타나지 않자 슬슬 지쳐갔다. 가슴이나 팔, 허벅지 근육은 운동 효과가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생산했다. 대장균의 플라스미드라는 고리 모양의
유전자
에 껍질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를 끼워 넣은 뒤 배양했다. 이렇게 만든 단백질이 가득 들어있는 용액 위에 얇은 지방막을 올려두면 단백질과 지방막 표면이 상호작용하면서 2차원 결정체를 만들 수 있다.다음으로 2차원 결정체를 ... ...
피망vs파프리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카프시쿰 아눔이라는 종을 개량해 만들어요.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을 만드는
유전자
가 없기 때문에 매운맛이 덜 난답니다.파프리카파프리카는 네덜란드어로 고추를 뜻해요. 피망중에 달고 아삭아삭한 맛이 나는 품종을 뽑아서 파프리카로 개량했지요. 이 종자들이 우리나라로 들어올 때 ... ...
한국호랑이와 시베리아호랑이는 형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구진은 한국호랑이
유전자
를 현존하는 호랑이 여섯 종
유전자
와 비교했지요. 그랬더니
유전자
염기서열이 시베리아호랑이와 100% 일치하는 걸 확인했어요.한국호랑이 뼈는 어디서 구했지?연구진은 미국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과 일본 동경 국립과학박물관에서 한국호랑이의 뼈 표본을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흰 돌과 같이 완전히 다르게 느껴지지만 유사한 점도 많다. 그러나 집단선택론이 옳든,
유전자
선택론이 옳든지 간에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지금 살아가는 모든 생물들은 모두 소중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개미 한 마리도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되는 이유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