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벽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전부
전체성
극치
d라이브러리
"
완전
"(으)로 총 2,046건 검색되었습니다.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민족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는 북유럽인을 포함해 아리안 혈통을 이어받은 사람들만이
완전
한 인간이고 인류의 발전에 기여해왔다고 주장하면서 게르만 민족의 단합을 외쳤다. 사실 나치스의 집권도 오랫동안 유대인을 미워해온 뿌리깊은 인종주의에 바탕을 둔 것이다. 나치스는 집권 전부터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더불어 또 하나의
완전
수로 믿었다. 그리고 이 두 개의
완전
수가 더해져서 얻어지는 16을
완전
수 가운데에서도 가장 완벽한 숫자로 믿었다. 판테온의 원형 천장은 16개의 큰 기둥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16개의 기둥만으로 이처럼 큰 원형 천장을 받치는 것은 구조적으로 볼 때 무리다. 그러나 로마 ... ...
물고기에도 나이테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나이테가 동심원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보통의 연륜과 달리 송진이 차있거나 불
완전
한 모양의 상해연륜이 나타나면 서리나 산불이 일어났음을 유추할 수 있다.유물의 연대 추정나이테를 이용하면 나무의 나이를 알아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미 사용된 목재 조각의 사용연대까지 파악할 수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중심으로 사방에 물방울이 있으면,
완전
한 원 모양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 이때
완전
한 원 모양의 무지개를 보려면 물방울까지 약1km 떨어진 경우 물방울이 적어도 높이와 폭이 모두 1460m (730×2m) 이상 퍼져 있어야 한다. 즉 물방울이 충분히 넓은 지역에 퍼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지 않으면 ... ...
배타적인 것은 서로 보완적이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No)로 결정되는 것이 너무나 많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은 상식에 어긋나는 양자역학은 불
완전
한 이론이라고 생각했다.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고 준엄하게 말했다. 여기서 신이란 자연 혹은 물리법칙이고, 주사위 놀이란 확률을 의미한다. ... ...
들판에 형성된 불가사의 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북부의 숲에는 거대한 수백개의 원들이 보인다. 이들은 지름이 3백m에서 2km에 이르는
완전
한 모양의 원들이며 하늘에서 봐야 확인된다. 이 원들이 UFO의 흔적이라는 설과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간 거대 곰팡이의 감염이라는 설이 있었다. 여기에 새로운 이론이 등장했다. 지구표면 아래쪽에 ... ...
쥐 정소에서 길러낸 사람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않는 남성의 경우 정상적인 정자가 만들어지지 못한다. 안티노리 박사는 바로 이 ‘불
완전
한’ 생식세포를 쥐의 정소 조직에서 길러 정상적인 정자로 자라나게 한 것이다.그렇다면 부작용은 없을까. 물론 안티노리 박사는 안전하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여론은 사람의 정자가 쥐의 정소에서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후 많은 학자들이 조석현상을 연구한 결과 천체역학적으로는 조석현상이 거의
완전
하게 설명된다. 여기에 특정 지역에서의 조석은 지형과 기압, 바람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현지에서의 지속적인 관측을 더해야 한다. 지금은 어느 지역이라도 조석을 2-3cm 이내에서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고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18세기 프랑스 입자철학자들은 뉴턴이 원인을 밝히지 않은 채 만유인력을 상정한 것은 불
완전
한 설명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세상의 모든 현상에서 원인이 규명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그들은 중력의 원인을 세상을 꽉 채우고 있는 입자들의 소용돌이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입자들은 ... ...
③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분야에서 북한은 혜성을 ‘살별’, 개기월식과 개기일식을 각각 ‘
완전
달가림’과 ‘
완전
해가림’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그들이 말하는 ‘남돌이’와 ‘제돌이’는 무엇일까. 그것은 각각 공전과 자전을 일컫는다. 앞서 수학용어의 차이를 비교할 때도 느꼈겠지만 다소 어색한 기분이 들면서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