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전"(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수 있답니다. 살균제라는 이름에 겁먹을 수도 있지만, 사용법과 용량을 지키면 대부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습기 살균제, 무엇이 문제였을까?Part 1. 세포를 죽이는 살균제의 능력!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 ...
- Part 3. 규제는 철저하게, 확인은 꼼꼼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누구든 정보를 볼 수 있게 했답니다.이번 일은 부실한 안전관리와 기업의 잘못된 욕심이 낳은 가슴 아픈 비극이에요. 두 번 다시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꼭 필요한 화학물질에 대한 더 깊은 관심과 고민이 필요한 때가 아닐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주도로 개발하고 있다. 화산재 확산 시 피해규모를 예측하고 추정하는 기술은 국민안전처(전 소방방재청)에서 맡았다. 2018년까지 백두산은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의 화산 분화에 대비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변수 1. 규모 7.0의 핵실험북한은 2006년 10월 9일부터 올해 9월 9일까지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만들어 동물실험을 했고, 올해 5월에는 병원에서 실제 환자들에게 적용해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구체적인 기술은 밝힐 수 없지만, 열전소자 재료와 구조를 최적화한 게 비결”이라며 “이제 상용화까지 대규모 임상시험과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만 남겨 둔 상황”이라고 말했다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광대버섯류예요. 먹으면 구토나 설사가 이어지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답니다. 안전하다고 확인된 식용 버섯만 먹고, 야생에서 자라는 버섯은 절대 함부로 건드리지 마세요! 우리나라에도 삼국사기에 왕에게 버섯을 진상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요. 적어도 삼국 시대부터 버섯을 식용이나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드론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서 적절한 규제는 필요하다”며 “어떤 규제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지 알아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을 구체적으로 더 많이 시도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DHL은 파셀콥터 프로젝트를 진행할 당시, 독일 교통부 및 항공관제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맺었다. 파셀콥터만 ...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여느 때와 같이 친구들이랑 자전거를 타고 공원으로 가고 있었어요. 집에서 공원까지는 자전거 도로가 있어서 잔소리 많은 엄마도 크게 걱정하지 않으셨어요.자전거를 ...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질병과 싸운다고만 알려져 있었다.워커 교수는 “결핵 백신은 신생아에게 잘 들지 않고 안전하지도 않다”며 “여성이 임신하기 전에 예방 백신을 맞으면, 나중에 모유를 먹는 신생아도 예방주사를 맞는 효과를 얻는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면역학’ 9월 15일자에 실렸다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제 겨우 50대 중반임을 고려할 때, 이들이 노벨상을 수상할 거라고 예측하는 건 매우 안전한 도박이다. 그날이 정말 온다면, 노벨상 위원회가 과연 K-이론을 대중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겨내기 위해서는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고 둥근 형태의 차폐막을 만드는 게 가장 안전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크레이터와 같이 자연적으로 움푹 패인 지형을 이용하자는 것이다. 신휴성 건기연 극한건설연구단장은 “만약 화성에 정말 거주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지하에 건축물을 짓고 그 사이를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