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센터"(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주비행선 X-37B가 718일간의 우주비행을 마치고 5월 7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네디우주센터로 귀환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용한 우주왕복선을 연상케 하는 이 우주비행선은 길이 8.8m, 무게 5t으로 우주왕복선의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롭게 수정할 수 있으며,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도전, 질병 정복을 꿈꾸다의학의 발전에 끝이 있을까.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에서는 LPS수용체에 저항성이 있는 돌연변이, 자가면역 등 면역 전반을 연구한다.보이틀러 교수는 “현재는 인간의 면역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나 행동 발달 등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LPS가 중요한 역할을 ... ...
- [과학뉴스] 사라져라 흰머리, 자라나라 검은머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없애거나 탈모를 치료하는 데 한걸음 다가갔다.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의료센터의 피부과 전문의 루 리 박사팀은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 단백질 KROX20을 찾아냈다. 리 박사는 원래 신경계에 종양이 생기는 희귀 유전질환에 대해 연구하던 중, 신경을 발달시키는 단백질인 KROX20이 머리카락이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학술단체에서 입장을 바꿨기 때문이죠.”함경식 목포대 식품공학과 교수(천일염연구센터장)는 당시를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NAM은 2005년 나트륨 저감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면서 하루에 5.8g 이하로 소금 섭취량을 줄이는 게 건강에 좋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소금을 적게 섭취하는 ... ...
- 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안녕! 나는 우주 도시 B-9 구역에 사는 신미래야. 지난달에 해상 도시에서 이곳 우주도시로 이사를 했지. 우주 셔틀을 타고 지구를 떠났는데, 이곳에 또 하나의 지구가 있더라고! 한 달밖에 안 됐지만 이곳은 정말 색달라. 아직 이곳에 못 와본 너희를 위해 내가 살아 본 도시들을 소개할까 해. 2017년을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비밀 1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TBM’지하 도시는 장점이 많지만, 불과 50년 전까지만 해도 땅속을 파는 것은 목숨을 걸고 해야 하는 일이었어요. 측정 기구와 땅을 파낼 도구가 부실했기 때문이죠. 그래서 무너지기 쉬운 땅속에서 오랜 기간 공사를 하다가 종종 인명 사고가 일어나곤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성공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병리학과의 애슐리 모펫 교수와 그레이엄 버튼 영양막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자궁내막 조직에서 세포를 채취해 배양했다. 배양접시에서 살아 있는 자궁내막 조직을 만든 것이다.연구팀은 이 오가노이드를 여러 달 동안 배양하면서 몸속에 있는 실제 자궁내막과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한 손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온에너지재 료연구센터장은 “나노기술은 현대 과학의 빌딩블록(건축물을 만드는 벽돌)”이라고 말했다. 저마다 겉모습이 다른 건물들처럼 모양과 쓰임새는 달라도 수많은 연구에서 나노기술을 쓰고 있다는 뜻이다.매일 전세계에서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혹시 로봇 포렌식을 한국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이승진 교수는 “현재는 경찰, 해바라기센터, 대검찰청 등 각 기관에서 독립적으로 면담자 교육을 하고 있다”며 “아직 교육 내용도 표준화돼 있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Zachary Henkel et al. ‘A Robot Forensic Interviewer - The B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벚꽃, 왜 빨라졌을까?한마디로 하면 벚꽃전선이 때문입니다. 김진희 국가농림기상센터 연구원은 “과거 개화시기 데이터와 기온 자료를 분석해보면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온 현상이 봄꽃 개화시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최근 한반도의 기후변화 양상을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