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것 같아? ※이 글에 등장하는‘행복바이러스’와‘불행바이러스’는 실제로 있는
생물학
적인 바이러스가 아니에요.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이랍니다.행복한소식❶-행복은우리주위에네가 불행바이러스구나? 나와 반대로 나쁜 소식을 전할 궁리만 한다는….나는 행복바이러스야. 행복을 이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뒤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진화적 게임이론을 바탕으로 경제학, 정치학, 진화
생물학
,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현지취재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박테리아를 모방한다(mimic)’는 뜻을 강조했다. 라울 교수는 마르세유에 있는 구조
생물학
및 미생물연구소의 생명정보학 전문가 장-미셀 클라베리 박사에게 미미바이러스 게놈 분석을 의뢰했다. 대략적인 분석 결과 놀랍게도 게놈 크기가 80만 염기쌍이나 됐고 담고 있는 유전자도 최대 900개나 ... ...
[생 물]신경전달 과정과 평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고등학교 생물I에 나오는 신경전달 과정을 소재로 한 단계씩 연구 과제를 해결하며
생물학
지식을 추론·생산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했습니다. 논제 1에서는 물리I의 ‘전류와 전하량’ 개념을 생물의 신경전달 과정에 적용해 해석합니다. 논제 2는 주기율표의 경향성을 해석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 ...
“나비와 함께 훨훨~!” 나비박사 석주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무척 기쁘네요.박사님께서는 일제시대와 해방 직후까지 나비를 연구해 우리나라 근대
생물학
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를 하신 건지 설명해 주세요.저는 전국 곳곳을 돌아다니며 나비를 관찰하고 표본을 수집해 나비를 분류했어요. 그러는 동안 나비 분류학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크아아아~! 깜짝 놀랐지? 난 지난 11월 국립과천과학관에 찾아온 에드몬토사우루스야.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내가 한국까지 먼 길을 온 건 한국에 살았던 내 친구들을 찾고 싶어서란다. 한국은 공룡발자국 화석으로 유명하다기에 분명 나의 친구들도 많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거든 ... ...
‘어린이과학동아’의 힘! 열혈독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2호에 나온 비행기 특집이요. 삼촌이 비행기 기장이시라 비행기에 관심이 많아요. 그리고
생물학
이나 생명과학에도 관심이 많고요. 유전이나 혈액형 등에 대한 기사를 더 많이 보고 싶어요.우와~, 몇 년도 몇 호인지도 다 기억하나요?그럼요. 하도 열심히 봐서 몇 호에 무슨 내용이 실렸는지 다 외우고 ... ...
비글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모습을 더 보고 싶다고? 생물이 진화하는 과정을 짧은 시간에 볼 수는 없어. 그래서 진화
생물학
자들은 화석으로 발견되는 진화의 증거로 전체 진화 과정을 밝히고 있지. 최근엔 생물의 유전정보를 비교해 생물들이 서로 얼마나 가깝고 먼지 알아 내고 있어.이제 우리의 진화 여행을 마무리 해야겠다. ... ...
올해의 엽기 노벨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영양학 : 듣기 좋은 과자 씹는 소리가 과자를 더 맛있다고 믿게 만드는 심리학 연구.•
생물학
: 개에 기생하는 벼룩이 고양이에 기생하는 벼룩보다 더 높이 뛰는 이유•의학 : 비싼 가짜 약이 싼 가짜 약보다 효능이 더 좋다는 연구.*이그노벨상 : 1991년, 미국의 한 과학잡지 발행인이 지나치게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이수했던 인문사회, 자연과학 분야의 기본 지식을 선수과목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생물학
및 화학계열에서 6학점, 물리학 및 수학계열에서 3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어느 대학원이나 선수과목 이수 제한 없이 지원할 수 있다. 선수과목을 수강하지 못하고 졸업한 경우 학점은행제나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