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n이 무한대로 가면 이 모양이 극한으로 작아지면서 뾰족한 부분만 남게되는 프랙탈 함수입니다. 즉 모든 점에서 미분이 불가능해지는 거지요. 그럼 모든 구간에서 연속하면서 모든 구간에서 미분 불가능한 함수를 찾은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바이어슈트라스 ... ...
- Part 2.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돌연변이가 일어난 염기서열을 바꾸는 방법을 생각해냈어요. 유전자에서 특정 부분을 자른 후 세포 내 복구 시스템에 의해 다시 연결되는 과정에서 유전자 교정과 변이가 일어나는 원리예요. 크리스퍼는 2013년 초에 미국 매사추세추공과대학교 펑 장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로, ‘3세대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로봇으로 재탄생했답니다. 박성현 기자는 개조한 리모컨카를 소개하며 “카의 앞부분이 골대에 닿으면 탁구공이 담긴 상자가 들리면서 앞으로 쏟아지는 원리”라고 설명했어요. 협력해서 공을 빨리 옮겨 보자! “준비~, 출발!” 섭섭박사님이 출발 신호를 외치자 기자단 친구들은 화면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바퀴벌레처럼 강한 생명력! 쇠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홀씨를 날리는 ‘생식줄기’를 땅 위로 올려 보낼 거예요. 이 생식줄기 끝에 달린 머리 부분이 뱀의 머리를 닮아 ‘뱀밥’이라고도 불리지요. 5월이 되면 생식줄기는 사그라지고 초록색 풀이 자란답니다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들 수밖에 없습니다.발목에는 무릎 절반 힘 가해져 이제 다리와 몸통을 잇는 엉덩이 부분을 설계해봅시다. 엉덩이는 많은 동작을 자유롭게 소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자유도 3으로 설계하겠습니다. 3개의 모터가 한 점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내기 위해 모터의 회전축이 한점에서 만나게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전부 담지 않아도 돼 학생들이 나만의 주기율표를 구상할 때 공통적으로 어렵게 느낀 부분은 바로 기존 주기율표의 존재였다. 이미 모범 답안이 나와 있는 상황에서 이를 벗어나 새로운 발상을 하기가 쉽지 않았다. 강 교사는 “주기율표는 15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학계에서 검증된 과학적 산물인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예고편에서 영웅들이 입은 ‘수트’다. 엔드게임의 핵심 포인트는 수트?! 예고편 끝 부분을 보면 토르와 캡틴 마블을 뺀 나머지 영웅들이 비슷한 수트를 입고 걷는다. 지금까지 서로 다른 옷을 입었던 것과 다른 모습이다. 주목해야 할 건 옷의 형태가 몸을 작아지게 해주는 앤트맨의 파워 수트와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확률이 벌써 0.5n입니다. 이렇게 두 벡터가 같다면 나머지 n-2개 벡터가 어떻든 n-1차원 부분 공간에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pn≥0.5n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참 후인 1995년 미국 수학자 제프 칸과 콤로시, 그리고 2012년 아벨상을 받은 헝가리 수학자 세메레디 엔드레 이렇게 세 명의 수학자가 pn≤0.999n을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찾는 수업이 진행 중이었다. 내분점은 선분을 내분하는 점이고, 이때 나눠진 두 부분의 길이 비는 내분비라고 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선분을 연장한 뒤, 연장선 위의 점을 기준으로 선분을 외분하는 점을 외분점이라고 한다. 여기서 선분을 나누는 비율을 조금씩 바꾸면 달라지는 점의 자취를 그릴 수 ... ...
- [알고리듬 시그널] 시각은 용납하지 않는다! 집합 덮개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따져보면 정확한 답을 찾을 수 있어요. 하지만 원소의 수 n이 아주 큰 전체집합일 때는 부분집합의 조합이 2n-1개이므로 전부 따져보기가 무척 어려워져요. 이 문제는 NP-완전으로 밝혀져 실제로 생활에 쓰일 때는 근사알고리듬으로 최적해에 가까운 답을 찾아서 쓰고 있어요. 그럼 모든 조합을 따지지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