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물고기 잡으려다 바다를 망치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래와 돌고래, 30만 마리의 바닷새가 이런 불상사를 겪는다고 보고했어요. 미국 듀크대학교의 연구팀은 1990~2008년 동안 많으면 150만 마리에 달하는 바다거북이 의도치 않게 잡혔다고 보고했지요.이렇게 의도치 않게 잡힌 동물 중 팔리지 않는 것들은 다시 바다로 버려져요.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 ...
- [가상 인터뷰] 야생 당나귀와 말, 외래침입종에서 구세주로 신분상승!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오해라는 연구가 나왔어! 생태계를 망치는 게 아니었구나!응. 4월 30일, 덴마크 오르후스대학교 생물학과 에릭 룬드그렌 연구팀은 야생말과 당나귀가 건조한 지역의 생태계를 풍요롭게 만든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우리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미국 소노라 사막과 모하비 사막에 ... ...
- [기획] 키메라 연구, 장기이식의 희망이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등 단단한 조직을 만드는 데 유리한 방법이다. 전자기계 장치스위스 취리히연방공학대학교에서 만든 실리콘 인공 심장. 기계로 만든 인공 심장은 환자가 이식할 심장을 기다리거나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 오가노이드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팀은 2020년에 몸 밖에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때 사고로 어깨 아래가 마비되었습니다. 그리고 33년이 흐른 2021년 1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연구팀의 도움으로 혼자 케이크를 먹는 데 성공했지요. 뇌에 6개의 장치를 심고 로봇 팔을 연결한 뒤,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조종한 거예요! 추천! 어과동 실험 영상 다시 보기 덥다, 더워~. 땀 나는 ... ...
- 마이랩홈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부글부글 빵!빵! 실험으로 코로나19로 답답한 마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녹이는 염기성 물질이에요. 그러면 아세트산나트륨은 세정력을 지니고 있을까요? 서울대학교 화학과의 김경택 교수는 “아세트산나트륨은 약한 염기성을 띠므로, 세정력은 거의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어요.식초와 베이킹 소다도 각각을 청소에 사용할 수는 있어요. 베이킹 소다는 물에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인터뷰 “수학은 언제나 놀라움을 주지요!”_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뉴사우스 웨일대학교 교수) 안녕하세요, 어수동 독자 여러분. 저는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직각삼각형을 가지고 뭘 했는지, 어디에 이용했는지 알아내기 위해 바빌로니아 점토판을 연구했어요. 전 세계의 박물관, ... ...
-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공간에는 유한한 수의 입자만 들어갈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에요. 김항배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시공간에 양자역학의 원리가 적용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약 그렇다면 무한의 개념이 없다고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
- [기획] 논란의 중심에 서다 키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키메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이야. 머리는 사자, 몸통은 염소, 꼬리는 뱀으로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섞인 동물이지. 하지만 키메라는 신화적 존재만은 아니야. 특히 최근에는 사람과 원숭이의 키메라가 등장하면서 과학자들 사이에 심각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지. 키메라가 대체 왜 논란 ... ...
- [특집] 딱 하나 고르라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국 제20대 대통령인 제임스 가필드, 우리나라의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의 방법도 있어요. 복잡하고 어려운 수학 계산으로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만, 색종이와 가위만 있으면 누구나 따라 해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도 있어요 ... ...
- [특집] 연속체 가설은 거짓? 끊임없는 수학자들의 공격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연속체 가설을 증명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하지만 줄리엣 케네디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수학 및 통계학과 교수는 이 결과에 대해 ‘수학의 역사에서 일어난 가장 지적으로 흥미진진하고 절대적으로 극적인 일 중의 하나’라고 표현했습니다. 이처럼 수학자들의 반응은 다양하지만, 이번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