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 바다의 포식자 화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0만 년 전까지 지구에 살았던 바다 생물이에요.얼핏 보기에는 새우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다리
에 뾰족한 가시가 달려 있고, 날카로운 이빨과 강력한 턱을 갖고 있어요. 그 덕분에 삼엽충을 비롯한 많은 생물을 잡아먹으며 수억 년 동안 지구상에 존재할 수 있었지요.과학자들은 몸길이 1m 이상의 ... ...
파리도 예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아니겠어? 우아하고 아름다운 긴~
다리
를 가진 난 ‘장
다리
파리’라고 해. 우아한 긴
다리
는 물론 멋지게 빛나는 예쁜 눈과 몸을 가진 내가 일등인 게 당연해! 예쁜 벌을 닮았다!안녕? 난 ‘멜론파리’라고 해. 빛나는 눈과, 노랑과 갈색이 어우러진 예쁜 몸이 정말 귀엽지? 뭐? 벌처럼 생겼다고? 맞아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영향을 알아 보기로 했어. 우선 실험을 하기 위해 신발을 신고 ‘마커’라는 표시 장치를
다리
와 신발에 붙였단다. 마커는 실험실 안에 있는 12개의 적외선 카메라가 동작을 인식해서 3차원 입체 영상으로 만들 수 있게 해 주는 장치야. 이 장치를 이용하면 내가 걸을 때 발목과 땅이 이루는 각도와 ... ...
쭉쭉 늘어나는 팔
다리
, 그녀의 이유 있는 변신 애니메이션 인크레더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그녀의 몸통에 팔
다리
가 연결돼 있는‘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그녀가 변신하면서 팔
다리
의 위치까지 바꾸지 않기 때문에 신체의 각부위를 잇는 선들과 면들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녀는 초능력 사용에 상관없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고무줄처럼 변신하는 지하철 ... ...
2011 제주 수학 축제, "나도 수학 사랑해마씸!"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축제가 열리는 제주 컨벤션센터에서 출발해 주상절리와 야자수가 있는 정원, 베릿내
다리
를 건너 중문해수욕장까지 이어지는 총4개의 코스로 이뤄졌다.아름다운 제주의 자연과 더불어 수학을 체험하는 제주 수학 축제. 앞으로도 제주 수학축제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수학을 즐길 수 있기를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또 군락지에서 떨어져 있는 식물을 때리자. 곤충들이 알을 낳는데 지나치기 어려운 징검
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구멍 안에서 나비 애벌레 찾기비슷한 방법으로는 ‘쓸어담기’가 있다. 튼튼한 철제 포충망으로 빗질하듯 키가 작은 관목의 나뭇잎을 먹고 있는 애벌레들을 쓸어 담는 방법이다. 이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상의했다. 손의 제안은 ‘벌레구멍’ 또는 ‘웜홀’이라고 흔히 부르는 아인슈타인-로젠
다리
였다. 아인슈타인은 1916년 시공간과 중력에 관한 가장 일반적인 이론인 일반상대성 이론을 발표했고, 1936년 네이썬 로젠과 아인슈타인은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해 줄 수 있는 시공간 풀이를 발표했다.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공개돼 큰 파문이 일었다. 지하철에서 백발의 할아버지가
다리
를 꼬고 앉은 청년에게
다리
를 풀라고 지적했다가 자신이 뭘 잘못했는데 다릴 치냐며 봉변을 당한 것이다. 이 청년은 승객들에 의해 전동차 끝으로 끌려갔지만 다시 돌아와 폭언을 퍼부었다. 동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가정에서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펀치를 날릴 때 우리 몸의 변화를 생각해보자. 단순히 주먹만 앞으로 뻗는 게 아니라 두
다리
를 벌려 균형을 잡고 허리도 비틀며 빠르게 움직인다. 두발 로봇 ‘마루’를 개발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유범재 박사는 “현재 가장 발달한 두발로봇은 시속 6~8km로 달릴 수 있지만 이는 정해진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결정하는 중력방정식을 통해 블랙홀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 웜홀의 해 ‘아인슈타인-로젠
다리
’를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다. 웜홀은 시공간 사이를 잇는 좁은 지름길이 돼 시간여행을 가능하게 한다.웜홀은 사과를 파먹은 벌레가 만든 구멍과 비슷하다. 벌레가 사과 표면에서만 움직이는 것보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