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형
조화
문체의 우아
일치
대칭
병형
균세
d라이브러리
"
균형
"(으)로 총 1,56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이는 또 국제 정치 외교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지구 환경의
균형
을 잃지 않는 적정한 수준의 조치를 위해서는 과학자들의 지구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지구 환경 변화의 원인이 되는 요소와 그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것이다. ... ...
기능성 식품 알고 먹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말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의 대부분은 아직 밥 김치 국(우거지)을 기본으로 하는 훌륭한
균형
식을 먹고 있으니 식이섬유를 약처럼 먹을 필요가 없다. 소비자들 식품과 약품 구분할 줄 알아야특수한 생리기능을 가진 식품소재로서 현재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소위 기능성 식품도 많이 있다. 그 ...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상태를 말한다.자율신경에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는데, 이둘이 긴장과 이완의
균형
을 취함으로써 내장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된다. 지나치게 긴장하면 스트레스로 인해 몸 전체가 이상 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자율신경의 조절에 착안한 것이 바로 동양의 심신법이다.운동선수나 음악가 ... ...
황금 원숭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얼굴에 작은 넓적코를 가지고 있다. 몸보다 1.5배 긴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도약할 때도
균형
을 잘 잡는다. 이들이 내는 소리는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어 수백m 바깥에서도 들릴 정도.황금 원숭이들은 엄격하게 규제된 가족을 형성한다. 집단의 우두머리인 '왕' 원숭이는 다 큰 숫놈이 그 역할을 ... ...
8개 국책 공대 총정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유독 강원지역만 탈락시켰고 특히 경남과 경북에는 2개씩이나 선정, 전혀 지역적인
균형
이 유지되지 못했다는 것이다.특성화 공대 경험살려 시행착오 최소화해야8개 국책공대는 공교롭게도 지난 73년 특성화 공대로 지정된 6개 대학이 모두 선정됐다. 정부는 73년 창원공업단지를 배경으로 한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하면 저쪽이 곪아 터지고 있기 때문이다.새로운 세계관 모색의 틀자원고갈과 수급 불
균형
, 환경오염과 생태계 훼손, 인구조절과 식량위기, 인간소외와 가치관 혼돈 등이 새로운 문제로 부상했다. 이 부정적 측면을 조율하지 않고서는 인간의 미래가 또하나의 바벨탑이 되고 말 것이라는 우려는 단지 ... ...
우주정거장 여행 10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때문에 극심한 열전달이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순환장치를 이용하여 열
균형
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짊어진 통속에 장착되는데 이 통속에는 호흡에 필요한 산소와 호흡시 배출되는 탄산가스를 여과하는 장치가 포함된다. 우주공간에서는 무중력상태이기 때문에 등에 짊어진 커다란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밖으로 엔트로피를 버리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질서
균형
을 유지하는 현상을 생물학자들은 항상성(homeostasis)이라고 부른다. 사람이 병이 들었다는 것은 열역학적 관점에서 보면 바로 엔트로피 방출능력이 감소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물질대사가 변화해서 ... ...
PART 1 무중력 공간이용 순도 100% 신물질 제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때문이다.또한 인체의 근육은 무중력상태에서 이완현상이 나타나는데 이에따라
균형
감각을 잃고 이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우주인이 지구로 귀환하였을 때 바로 서 있을 수 없다든가 똑바로 걷지 못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이러한 무중력 환경에 적응하는 장소로 우주정거장은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늘어나고 굽어지고 접혀지면서 복잡한 입체구조를 만들게 된다. 이들은 복잡하지만
균형
이 잡혀 있고 어딘가 생명이 스며있는, 숨소리가 들리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것이 살아있는 단백질 분자의 모습이다.달걀을 삶으면 달걀 단백질의 분자모습이 변한다. (그림1)과 같이 전체적으로 늘어뜨린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