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자료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데이타
관련데이터
d라이브러리
"
관련자료
"(으)로 총 2,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오늘날 두다리가 절단된 장애인도 의족 덕분에 각종 스포츠를 즐긴다. 의사는 내시경, MRI와 같은 각종 첨단 의료장비를 이용해 수술하지 않고도 환자의 체내를 들여다본다. 의공학의 눈부신 발전 덕분이다. 의공학은 과연 어떤 학문일까.지난 4월 5일 2001년 프로야구 개막전이 열리는 잠실 야구장.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두번째 미션. ‘21세기 태양계 바이오 타깃을 탐사하라.’팀 버튼 감독의 영화‘화성 침공’에는 우스꽝스러운 화성인이 등장한다.현재로서는 화성에서 이런 고등 생명체를 기대하기 힘들지만 태양계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곳은 화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이밖에 태양계에는 생명체나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수많은 별과 은하가 있는 우주에 지구와 같은 행성은 흔할 것 같다.하지만 생명체가 살고 있는 또다른‘지구’를 탐색하는 일은 드넓은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는 일과 비슷하다.더욱이 고등 문명을 가진 외계인을 만나는 일은 우리 시대에 힘들지 않을까.지난 4월 5일 미 CNN, 영 BBC 등의 외신은 미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새 또는 곤충과 같은 크기의 항공기가 가능할까. 영화에나 등장할 것 같은 이런 초소형 항공기가 현재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초소형 항공기가 현실로 다가오면 전쟁터 비밀정찰에서부터 위험한 활화산탐사까지 이용될 전망이다.누구나 한번쯤은 종이 비행기를 접으며, 이 작은 비행기가 하늘 ... ...
① 인간유전체기능 연구사업단장 유향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지난 2월 인간게놈프로젝트 국제컨소시엄(HGP)과 미국의 셀레라 지노믹스사가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완성했다는 발표가 국내외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 다름아닌 인간 생명의 비밀과 관련된 DNA 염기서열이 밝혀진 것이다. 인간의 달착륙에 비견되는 이 역사적 사건에 놀라워하는 사람도 있었는가 하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오늘날에는 매일 쏟아지는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의미있는 자료를 얼마나 신속하게 찾느냐에 기업의 성패가 달려있다. 이를 위해 통계학적 기술이 응용되는데, 데이터마이닝이 바로 그것. 기업뿐 아니라 인간유전자의 의미를 찾아가는 포스트게놈 연구에서도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왜일까. 필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인간게놈지도의 발표를 선망의 눈으로 바라봤던 우리나라도 마침내 본격적인 게놈시대에 돌입했다. 공개된 인간게놈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유전자를 찾고 기능을 밝히는 포스트 게놈 연구가 심도 깊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인 고유의 유전자에 대한 연구와 벼, 배추, 한약재 등 한국 고유의 생물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박사님, 이건 우리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비방인데요…”라고 하면서 요즘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의 정혁 단장(46)을 만나러 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강원도 산골짜기에 사는 한 농민은 ‘헛개’라 불리는 나무의 열매를 달여 먹으면 숙취 해소에 그만이라 하고, 경기도 동두천의 한 건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48년전 왓슨과 크릭은 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밝혔다. 그들의 연구 성과는 분자생물학을 여는 계기가 됐다. 이번에 발표한 인간게놈 연구 결과는 21세기 과학의 최대 사건으로 기억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렇다면 이번 성과는 또 어떤 미지 세계로 떠나는 출발점이 될까.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가장 딱딱하고 재미없게 보이는 책을 꼽으라면? 아마 학생들은 ‘교과서’를 뽑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올해 중학교를 입학하는 학생들은 좀 다르게 생각할 듯하다. 교과서가 모습을 싹 바꿨기 때문이다. 어떻게 달라졌을까.우선 외형을 살펴보았다.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크기의 변화. 16.9×23.7cm에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