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d라이브러리
"
안정하기
"(으)로 총 2,71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10
지난 35년간 해수면 온도가 계속 상승해 전보다 훨씬 강력한 태풍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온실효과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온실효과와 태풍 세기 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려면 좀더 오랫동안 기록이 축적돼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지구온난화의 역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10
일본의 탐사선 하야부사가 소행성인 이토카와 상공에 다다랐다. 하야부사는 이토카와를 따라 비행하면서 행성 표면에 구형의 금속 탄알을 투하한 뒤 이 때 튀어오르는 파편을 수집해 지구로 돌아온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패킷인 작은 덩어리로 쪼개서 송수신 하는 방식으로 송수신 속 ... ...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10
한국시간으로 내년 1월 1일 오전 9시에는 1초가 더 생긴다고 한다. 8시 59분 59초 다음에 8시 59분 60초라는 윤초가 추가되는 것이다.수학적으로 1초는 8만6400분의 1일이다. 하지만 달의 조석력 등으로 지구의 자전속도가 서서히 느려지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삼으면 계산에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10
미국이 벌거벗었다.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휩쓸고 간 남동부는 생지옥을 방불케 했다. 미국 정부는 23만3000km2에 달하는 면적을 재해지역으로 지정했다. 영국만한 넓이다. 9월 19일 현재까지 집계 결과 카트리나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자그마치 973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736명이 루이지애나주에서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10
주인을 알아보고 대화할 수 있는 로봇이 곧 일본 가정에 등장해 노인들을 보살필 예정이다.‘와카마루’라는 이름의 이 로봇은 집을 지키고 장애인이나 노인을 돌보고, 비서 역할을 하며, 집을 안전하게 지킨다.이 로봇은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했다.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엔진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10
올해도 어김없이 태풍의 영향으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속출했다. 보통 태풍을 기상현상이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태풍은 발생부터 소멸까지 바다와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결국 태풍 예측의 열쇠는 바다가 쥐고 있는 셈. 세계 해양·대기과학자들은 끊임없는 해양관측을 통해 태풍 ... ...
구상 풍화의 절정 설악산 흔들바위
과학동아
l
200509
강원도 속초에 가면 한번은 들르게 되는 곳. 바로 설악산이다. 하늘을 찌를 듯한 날카로운 첨봉과 기기묘묘한 형태의 암석들이 함께 어우러진 설악산은 바위산이 뿜어낼 수 있는 자연미의 극치를 보여준다.그 가운데서도 외설악에 있는 울산바위 아래 계조암(繼祖庵) 앞에는 마치 커다란 공 모양의 ... ...
2. 과학이 해부한 댄싱퀸의 몸
과학동아
l
200509
갑작스런 인터뷰 요청에 전화기 저편에서는 당황스런 빛이 역력했다. 전화 상대는 최근 일명 ‘매트릭스춤’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길건(27). 키 169cm 몸무게 42kg의 훤칠한 외모에 탄력있는 몸매의 소유자인 그는 연예계에서 보기 드문 타고난 춤꾼 소리를 듣는다.바닥에 닿을 정도로 허리를 제쳤 ... ...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09
차이코프스키의 익숙한 음악이 흐른다. 여리고 가냘픈 몸매의 발레리나가 등장할 거라고 예상한 관객들, 눈을 의심한다. 하지만 이내 ‘선 굵은’ 남자 무용수가 연기하는 ‘힘이 넘치는’ 백조에 열광한다. 고전발레의 ‘백조=여자’라는 고정관념을 과감히 깨고 남자 백조를 선보인 영국 안무가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09
1996년 7월 5일 영국 로슬린연구소에서 양 한 마리가 태어났다. 이 양에는 ‘돌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세계 최초의 복제동물이었다. 돌리 이후 ‘스너피’까지 복제동물은 모두 13종으로 늘었다(100쪽 그림 참조). 한국에서 태어난 복제동물도 1999년 복제소 ‘영롱이’를 시작으로 5종이나 된다. 앞으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