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3,9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집게냐
손
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02
[2.
손
가락에 숨은 비밀]대학 4학년 때의 일입니다. 몇 가지 졸업작품을 생각하다가 로봇팔 비슷한 것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대강 설계도를 그린 다음 동네 공업사에 가서 여러 ...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떤 물건이든 자유롭게 잡을 수 있는 기계. 가장 좋은 견본은 바로 사람의
손
이니까요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
과학동아
l
201102
피부를 관찰해 보면 같은 피부라도 늘어나는 부위와 수축하는 부위가 나뉜다. 양
손
을 들었을 때 겨드랑이 밑은 잘 늘어나고 인체 중앙부는 잘 늘어나지 않는다. 관절 주변에는 주름이 있어 굽히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더욱 잘 늘어나고, 골이 있어서 굽힐 때 자리를 잡아준다.그렇다고 전신이 모두 ... ...
그림속으로 들어간 화가, 뒤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2
엉겅퀴 같은 식물을 들고 있는 작품이에요. 1493년에 그린 을 보면 22살의 남자가
손
에 꽃을 들고 있어요. 이 꽃은 ‘남편의 성실성’이라는 꽃말을 지녔지요. 어떤 사람들은 이 그림이 다가올 뒤러 자신의 결혼을 위해 신부의 부모님에게 줄 약혼선물이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하기도 해요 ... ...
Intro. 지구 리모델링하는 슈퍼아이디어
과학동아
l
201102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가 낸 아이디어다.기후공학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우리가 더 이상
손
을 쓸 수 없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지구공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과연 지구공학은 우리가 쓸 수 밖에 없는 대안일까. '병보다 위험한 치료법’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02
거기까지 미리 생각하고 계시다니. 그럼 공주님과 함께 탈출할 수 있도록 보물을
손
에 넣은 뒤에 탈출하는 계획을 세울게요.”“이봐, 우리는 지금 상륙한다. 이번엔 너희도 함께 가야하니 준비하도록 해.”바르바리 해적선 선장의 말에 허풍은 안절부절못하지만 도형은 이미 예상한 듯 차분히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02
폭격기는 하늘에서 갑자기 나타나 폭탄을 쏟아 붓는다. 눈앞에서 폭탄이 터질 때 까지 두
손
놓고 있다가 당하는 수밖에 없다. 핵무기라도 장착하고 날아오는 날에는 국가의 존립이 흔들리게 된다.이런 스텔스 기술을 전투기에 적용하면 ‘하늘의 제왕’이 된다. 미군이 2006년 알래스카 기지에서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02
많이 사라져 있었다. 굳지 않는 떡은 겉보기에는 일반 떡과 다를 게 없었다. 하지만
손
으로 꾹꾹 눌러보고 잡아당겨보니 꽤 유연하게 휘어지고 끈적거리기까지 했다.이렇게 차가운 온도에서 이처럼 말랑말랑한 가래떡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신기했다. 맛은 일반 가래떡과 똑같았다. 하지만 ... ...
2010 ‘몰래산타’ 대작전!
과학동아
l
201102
손
가락을 본떠 만든
손
가락 화석을 아이들은 마냥 신기하게 쳐다봅니다. 직접 만든
손
난로로 친한 친구의 추위를 녹여주기도 합니다.과학실험수업을 함께 한 산타 김성희 씨는 “우리의 몰래산타 대작전이 성공했다”며 “평생 잊지 못할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아이들과 함께 보냈다”고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2
나간 사람은 무엇인가를 잡아야 한다. 오존에서 떨어져나간 산소라디칼도 마찬가지다. 양
손
을 둘 데가 없어 주변 물질에 달라붙는 것이다. 산소 라디칼은 미생물의 세포벽, 효소, DNA에 붙어 구조를 망가뜨려 기능을 없앤다.➋ 오존수로 세척하기 전과 세척한 후 사과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200배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02
있던 가지나방 애벌레를 만지고 감짝 놀란 적이 많다. 산속에서 나뭇가지라고 생각해
손
으로 잡았을 때 ‘물컹’하는 느낌에 소스라치게 놀라곤 한다. [조팝나무가 먹이식물이다. 종령 애벌레의 몸길이는 40mm 내외. 나뭇가지처럼 서있을 때는 언제나 세 번째 가슴다리를 세워 잎눈처럼 보이게 한다.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