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스페셜
"
최초
"(으)로 총 1,51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이해 말 30세 미만의 젊은이의 혈장을 50세 이상인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에게 투여하는
최초
의 ‘회춘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그런데 최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한 학회에서 임상을 진행한 스탠퍼드대 토니 위스-코레이 교수팀은 젊은 피(혈장)가 환자의 인지력을 회복하는데 별 효과가 없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분야가 선정된다고 해도 박 교수가 포함될지는 불확실하다. 2009년 세계
최초
로 페로브스카이트전지를 개발한 사람은 일본 토인요코하마대 미야사카 추토무 교수다. 따라서 한 자리는 첫 게임을 뛴 미야사카 교수의 몫이고 나머지 두 자리를 두고 경합해야한다. 그런데 이 가운데 한 자리는 아무래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크리스퍼/캐스9 시스템을 사용해 꽃의 색을 바꾼
최초
의 시도라며 앞으로 원예식물 육종에 이 기술이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섹스가 아니라 젠더에 기반한 특성일 가능성이 크다는 게 최근의 연구결과다. 여성
최초
이자 유일한 필즈상 수상자인 미국 스탠퍼드대의 수학자 마리암 미르자카니 교수가 지난 7월 14일 40세의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수학은 천재(소수 남성)의 학문이라는 고정관념이 없었다면 56명의 ... ...
최초
의 미국인은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3
대부분의 유적이 현재는 깊은 바다 속에 잠겨 있기 때문”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초
의 인디언은 ‘육지사람’이 아닌 바다를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었던 ‘선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
2017.07.16
이후 이사는 진나라의 재상이 되었고, 진왕 정은 ‘진시황(秦始皇)’이 됩니다. 중국
최초
통일 제국의 황제였죠. ‘황제(皇帝)’라는 말 자체가, 진시황이 직접 만든 말입니다. 진시황에 대한 평은 폭군에서 영웅까지 상당히 엇갈리는 편이다. 그러나 그는 수백 년간 지속되던 춘추전국시대의 ... ...
영웅적인 행동도 여성이 하면 과소평가 된다?
2017.05.27
사회심리락 블로그] 얼마 전 라는 영화가 주목을 받았다. NASA에서 인류
최초
로 인간을 달에 보내기 위해 ‘인간 컴퓨터’로서 수학 계산을 담당했던 흑인 여성들에 관한 이야기다. 60년대는 아직 ‘법적’으로도 흑인에 대한 차별이 광범위하게 남아있었던 시절이다. 흑인과 백인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일곱 개 제후국이 자웅을 겨뤘다. 기원전 221년 마침내 진나라가 패권을 차지하면서 중국
최초
의 통일제국을 건설했다. 따라서 춘추전국시대 중국은 전쟁이 그칠 날이 없었고 전쟁을 수행하는 남성들 위주로 세상이 돌아갔다. 그러다보니 남녀차별이 갈수록 노골화됐을 것이다. 양사오문화 시절에만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
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표지로 읽는 과학-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의 표지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리본과 막대가 복잡하게 얽힌 그림입니다. 과학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익숙한 그림을 본적 있으실 겁니다. 단백질이나 생체 조직의 구조를 X-선 결정학 방식으로 나타낼 때 쓰이는 그림이니까요. 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얻은 실험결과가 전혀 다르다면 그건 과학이 아니라는 말이다. 과학자들이 우선권, 즉
최초
의 발견자로 인정받기를 그렇게 원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과학에서 ‘재현성 위기(reproducibility crisis)’라는 말이 들리고 있다. 특히 생명과학 분야에서 두드러지는데 얘기를 들어보면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