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스페셜
"
자리
"(으)로 총 1,394건 검색되었습니다.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명상은 마음의 평정심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평소 꿈
자리
가 사나운 사람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였는데, 그 가운데 꿈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내용이 인상적이었다. 즉 악몽을 자주 꾸면 자다가 심장마비나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원을 출연해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을 설립했고 황 교수와 그를 따르는 연구원 십여 명이
자리
를 잡았다. 그 뒤 이들은 개복제로 재원을 마련하면서(지금까지 전 세계 부호들로부터 의뢰받아 복제한 애완견이 200여 마리인데 건당 1억 원 정도를 받는다고 한다. 이 밖에 탐지견 200여 마리도 복제했다.) ... ...
한국의 ‘김장문화’, 인류무형유산 등재!
KISTI
l
2014.01.06
대표적인 식문화인 ‘김장문화’가 전 세계인이 함께 보호하고 전승하는 문화유산으로
자리
매김하게 됐다. 채소 절임 음식은 다른 문화권에도 많지만 김장처럼 겨울이 다가오기 직전에 전 국민 약속이라도 한 듯 집중적으로 음식을 만들어 저장해두는 풍속은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김장문화에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분야의 전문가로
자리
매김하게 된다. 1994년 웨슬리컬리지 교수가 됐고 2005년 예시바대로
자리
를 옮겨 학교 부설 윤리학센터 소장을 겸임했다. 애쉬는 사회에 만연돼 있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고 여성의 낙태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 애쉬는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달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위협을 느끼고 가족들을 데리고 케냐로 야반도주하기도 했다. 1972년 사우샘프턴대에
자리
를 잡은 바커는 역학(疫學) 강의로 명성을 얻었고 1984년 사우샘프턴에 있는 의학연구위원회(MRC) 실험역학단위 책임자가 됐다. 그는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역학조사를 통해 1910년 영아 사망률이 가장 높았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인간 시험관아기에 대한 연구를 금지시켰다. 이에 실망한 에드워즈는 케임브리지대로
자리
를 옮긴 앨런 파케스를 따라갔고 거기에 눌러앉았다. 에드워즈는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시험관아기의 기초연구를 진행했고 사람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연구를 하고 싶은 열망이 갈수록 커졌지만 난자를 ... ...
과학을 알면 스키 더 잘 탈 수 있다!
KISTI
l
2013.12.19
배꼽 아래 약 2.5cm 지점에 위치하는데, 슬로프를 내려올 때도 관성에 의해 계속해서 그
자리
에 있으려고 한단다. 그런데 다리는 벌써 슬로프 아래로 쭉 내려가 버리거든. 그렇게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기 때문에 자꾸 뒤로 넘어지게 되는 거지. 그래서 슬로프 위에서 넘어지지 않으려면, 무릎을 굽혀 ... ...
㈜동부대우전자의 신제품 개발 성공사례
KOITA
l
2013.12.19
내적으로는 나름의 규율(Discipline)이 있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내용들이 조직의 문화로
자리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일에 대한 ‘열정’이 있는 사람이라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공동작성_ 이동기 대표(㈜SBP전략경영연구소), 이정선 전문작가(프리랜서) 대담_ 김경학 연구소장(㈜동부대우전자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3편]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건축학과의 두 가지 전공 트랙 건축학 전공과 건축공학 전공의 차이는 무엇인지. 면접
자리
에서 수학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건축학과의 미래 전망은 무엇이며, 과연 여성이 도전해도 되는 분야인지 등 전공 적성부터 입시 정보까지 다양한 질문과 답변들이 펼쳐진다! ... ...
허블 우주 망원경에서 디지털 카메라까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1
CCD는 집적회로 기술로 만들어진 8비트짜리였다. 이 소자는 입출력 회로가 있었으며,
자리
이동 레지스터뿐 아니라 8개 화소가 일렬로 배열된 투박한 영상소자로 쓰일 수 있었다. 1971년 11월에는 마이클 톰셋이 주도한 벨연구소 연구진이 간단한 직렬 소자를 이용해 영상을 찍을 수 있었다. 이후 CCD는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