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병주고 약주는 코로나19 변이, 감염 10배 빠르지만 백신에 취약
2020.11.16
어렵다”며 “덴마크에서 최근 D614G 코드를 가진 밍크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발견
됐듯이 새로운 변이들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자료 https://www.unc.edu/posts/2020/11/12/common-sars-cov-2-mutation-may-make-coronavirus-more-susceptible-to-a-vaccine/ ※출처 : 한국과학기자협회 포스트 https://post.naver.com ... ...
"코로나 바이러스, 면역력 떨어진 사람 몸에서 빠르게 변이하고 부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5
겪었다. 남성이 코로나19 첫 확진 판정을 받고 5개월 동안 지속됐다. 연구팀은 남성에서
발견
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바이러스는 첫 감염 후 5개월 간 빠르게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는 주로 스파이크 유전자와 수용체 결합 부위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잠이 최고의 보약
2020.11.14
받은 후 양질의 수면을 취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정서 상태에 큰 차이가 난다는
발견
들이 있었다. 사람들로하여금 잠을 잘 자지 못하게 만들거나 또는 오랫 동안 불면증에 시달린 사람을 모아 뇌를 관찰하면 ‘불안’과 관련된 반응이 더 크게 나타나는 현상도 관찰된다. 잠을 자지 못할수록 ... ...
코로나19 'G유형 "세포에선 증식 왕성하지만 백신 효능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5월 서울 이태원 유행 이후 이 바이러스 유형이 유행해 최근에는 거의 이 유형만
발견
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바이러스의 빠른 확산이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강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펼쳐왔다. 다만 구체적인 증거가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에서 적어도 세포실험에서 바이러스의 증식력이 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출산시켜 전 세계적으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원자의
발견
과 이해가 20세기 과학 전반에 끼친 영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리처드 파인만은 만약 모든 과학지식이 파괴돼서 후손에게 딱 하나의 문장을 전해주려 한다면 가장 적은 단어로 가장 많은 ... ...
[한 토막 과학상식]IBS 연구진 최초로 관찰했다는 ‘케이지 형성’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때 유리 입자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며 입자들이 집단을 이뤄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개별적으로 움직이던 입자들이 집단적으로 움직인다는 건 유리 입자가 케이지 구조를 이뤘다는 걸 뜻하고, 패킹계수가 0.6인 순간을 기점으로 유리 입자의 움직임이 급격하게 변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
'사람→밍크→사람' 전파 게놈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이뤄진 것으로 추정됐다. 일부 사람에게서 밍크 감염 바이러스의 게놈 염기서열 특징을
발견
해, 농장의 밍크에 퍼진 바이러스가 다시 농장의 종사자들에게 역으로 전파됐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다만 기존에 해독된 네덜란드 내 환자 바이러스 게놈 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농장에 퍼진 이들 ... ...
요양병원 등 16만명 선제적 코로나 검사 마쳐…"환자 46명
발견
해 조치"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실시할 계획”이라며 “비수도권의 경우도 4주마다 검사를 실시해 무증상감염을 조기에
발견
하고 감염확산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전국 요양병원과 정신병원 등 취약시설에 대해 방역실태도 전수 현장점검했으며 현재 결과를 정리 중이다. 또 9일부터 두 ... ...
논란의 밍크 유래 추정 코로나 변이 살펴보니 "관찰 필요하지만 과대 해석 금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단백질의 439번 아미노산을 아스파라긴(N)에서 라이신(K)로 바꾼 N439K에서 집중적으로
발견
됐다. N439K는 7월 이후 유럽에서 수가 증가한 변이인데 10월 ‘네이처’와 ‘이라이프’ 등의 논문에서 항체의 중화 효능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제기됐다. 일부 언론에서 “백신 효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 ...
국내서도 열화상 카메라, 발열환자 놓쳤다…열화상 캠 성능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병원에 설치된 열 화상 카메라보다 수동적인 선별검사에서 약 10배 더 많은 환자들이
발견
됐다”며 “열 화상 카메라의 감도를 어떻게 높일 것인지 고민해야한다”고 밝혔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