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크린
비데오
텔레비전
비디오
영사막
모니터
화상
뉴스
"
화면
"(으)로 총 1,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이용한 기존 방식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송신기에서 꽤 떨어진 곳인데도, 휴대전화
화면
엔 충전중을 의미하는 번개표시가 떠있다. 한번에 여러 개의 전자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 과학동아 제공 ● 무선충전 시장을 장악할 국제 연합은? 현재 무선충전 시장에는 크게 세 개의 ... ...
필터 하나로 여러 색 한번에, 디스플레이용 컬러필터 개발
2015.08.25
이 교수는 “원하는 파장의 빛을 80% 이상 투과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보다
화면
을 구성하는 픽셀 크기를 줄일 수 있다”며 “소비전력 효율이 높은 고화질 컬러필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로봇 팔 끼고 사과 따기 게임 해보실래요?
2015.08.21
팔에 팔을 집어넣은 뒤
화면
앞에 앉는다. 곧 탐스러운 사과가 가득 열린 사과나무가
화면
에 나타나고 ‘사과 따기’ 게임이 시작된다. 사과를 따는 방법은 간단하다. 허공에 대고 사과를 따는 시늉을 하는 것. 오른쪽 사과를 따고 싶으면 팔을 오른쪽으로 옮긴 뒤 실제 사과를 잡듯 손을 오므리면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유지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영상 분석 기술이 더 발전하면 CCTV가 현재 촬영 중인
화면
이 범죄 현장인지, 즉시 경찰이 출동해야 할 사안인지 스스로 판단해서 대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뜨개질 하듯 짜내면 모니터 되는 ‘실’ 개발했다
2015.08.05
문제를 해결했다. 실처럼 가느다란 모니터 소자를 만든 것으로 마치 옷감 짜듯 컴퓨터
화면
이나 TV를 구성할 수 있게 만들었다. 연구팀은 전기회로를 가늘게 뽑아내 코팅하는 공정을 개발해 실과 같은 3차원 형상의 전자 기판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방식으로는 제작이 어려웠던 실 모양의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들어 허공을 툭툭 찌르자
화면
속에 쌓여 있는 나무토막 하나가 밀려 떨어졌다. 곧이어
화면
속에 있는 다른 사람도 막대를 하나 밀어냈다. 일명 ‘가상현실 젠가’ 게임이다. 이들은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가상현실에 접속해 게임을 즐기는 중이다. 박정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은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뇌의 반응을 촬영했다. 실험에는 개 8마리가 투입됐고, 그 중 6마리는 30초 이상
화면
을 응시했다. 실험 결과 매일 보는 사물에 비해 사람이나 다른 개의 모습을 볼 때 뇌의 측두엽이 더욱 활발해진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개가 사람을 인지하는 행동이 먹이를 받아먹기 위한 보상 행동이었다면,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있었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며 그림 두 장이 나란히 있는
화면
을 보여준다. 왼쪽은 기존 인체 림프계 분포지도이고 오른쪽은 이번 버지니아대 연구팀의 결과를 반영한 새 림프계 지도다. 소 교수는 “그렇게 오랫동안 알려진 림프관조차도 뇌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 ...
“스마트폰 적당히 쓰세요”
2015.07.29
사용권한을 반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이 앱의 핵심기능은 ‘공동
화면
잠금 및 알림 무음 기능’으로 여러 대의 스마트폰을 같은 그룹으로 묶을 수 있고, 그룹장 권한을 가진 사람이 모두의 스마트폰을 잠금모드로 바꿀 수 있다. 급한 일이 있을 경우에 대비해 5분 동안 사용할 수 ... ...
PART 02.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 공식 3
과학동아
l
2015.07.28
알게 된 사실이지만 간을 보지 않는 것은 음식이 맛이 없어서가 아니라 간을 보는 느린
화면
이 방송의 흐름을 끊기 때문이라고 한다 촬영팀은 요리가 완성된 직후에 가장 바쁘다. 이때가 음식이 가장 맛있게 보이기 때문이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촉촉한 음식은 특별히 예쁘게 담지 않아도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