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어"(으)로 총 2,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03.23
- 전력이 만들어지는 태양전지를 피부 아래 이식해 뇌에 삽입된 발광장치를 제어해 뇌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의 개념도.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인체에 삽입하는 태양전지에서 만든 전력으로 뇌에 삽입된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를 구동시켜 빛으로 뇌 기능을 조절하는 기기를 개발했다. ...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나노주름' 관찰·제어 동시 가능한 나노현미경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3.23
- 박경덕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팀이 2차원 반도체에서 나타나는 ‘나노주름’을 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정밀도로 관찰할 수 있는 ‘능동형 탐침 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개발했다.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경덕 물리학과 교수팀이 2차원 반도체에서 나타 ... ...
- 항우연 원장에 이상률 책임연구원·KISTI원장에 김재수 책임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21.03.22
- 석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폴사바티에대에서 1990년 자동제어학 석사, 1993년 자동제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항우연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부원장,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장, 항공우주시스템연구소장 등을 지냈다. 김 신임 원장은 1985년 홍익대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하고 1987년 ... ...
-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목표궤도에 안착동아사이언스 l2021.03.22
- 발사를 앞두고 발사 시스템 최종 점검을 수행하던 중 발사체 상단(프레갓)의 제어시스템에서 문제를 발견해 발사 일정을 한차례 연기했다. 이날 발사된 소유스2.1a 발사체에는 차세대중형위성1호가 중심위성으로 실리고 한국 조선대와 연세대가 개발한 큐브위성(초소형위성) 3기를 비롯해 일본의 ... ...
- [생중계] 발사 재시도하는 500kg급 차세대중형위성 1호 (오후 3시 7분) 동아사이언스 l2021.03.22
- 발견돼 잠정 연기된 바 있다. 해당 문제는 제어시스템 점검에서 상단(프레갓)을 제어하는 전기지상지원장비의 급격한 전력상승 문제가 감지돼 발사 자동시퀀스가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공장에서 위성 찍어내는 시대 여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 20일 우주로 http://dongascience.donga.com ... ...
- 차세대중형위성 1호, 22일 오후 발사 재시도동아사이언스 l2021.03.21
- 나타났다. 전지지상지원장비는 발사체 상단과 연결돼 발사 전까지 상태 모니터링, 제어 등을 수행하는 지상 지원 장비다. 러시아연방우주국은 소유즈 발사체 관련 업체들과 함께 분석한 전기지상지원장비 전력상승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재현 시험을 21일 수행하고 22일 15시 7분(한국시간) ... ...
- 차세대중형위성1호 발사 연기 '소유스 발사체 문제'…발사 예비일은 21일 동아사이언스 l2021.03.20
- 소유즈 2.1a 발사체 시스템에 대한 최종 점검을 수행하던 중에 발사체의 상단(프레갓)의 제어시스템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발사 일정을 연기했다"며 "차세대중형위성1호는 모든 기능이 정상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JSC 글라브코스모스가 소유즈 발사체의 발사 중단 원인 ... ...
- [잠깐과학] '망상가' 비판받은 세계 첫 액체연료 로켓 개발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03.20
- 초기의 로켓은 고체 연료를 사용했는데, 한 번 불이 붙으면 연소가 멈추지 않아 로켓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로버트 고다드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면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액체 연료와 산화제를 따로 저장해 두었다가 발사할 때 이를 섞는 방식이다. 액체 로켓은 고체 ... ...
- ‘이말년씨리즈’ 같은 히트작 그리는 ‘AI 만화가’ 꿈꿔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03.13
- 로봇이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경로를 생성하는 연구를 했다.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몸체의 어느 부위에 어떻게, 얼마나 힘을 줘야 하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다. 이동익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3월 1일 발행,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 https://dl ... ...
- 미생물에 광나노입자 붙여 이산화탄소 화학물질로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21.03.09
- 그러나 지금까지는 미생물이 광나노입자를 합성하는 형태를 활용해 와 구조와 크기를 제어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광전도효율을 높인 황화카드뮴(CdS)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아세토젠 미생물 중 하나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놈’ 표면에 부착하는 데 성공했다. 표면에 나노입자를 바른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