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폐 생쥐
빛
자극 줬더니 회복…자폐 환자 사회성 저하 원인 규명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전기적 시냅스’가 Pv 뉴런에서 과도하게 강화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특정 Pv 뉴런에
빛
자극을 주면 전기적 시냅스를 통해 주변 Pv 뉴런들까지 다발성 발화가 일어나 사회성과 인지능력이 회복된 것이다. 김은준 단장은 “자폐의 주요 증상인 사회성 저하의 구체적 메커니즘은 물론 사회성을 ... ...
[랩큐멘터리]계산으로 소재의 미래를 열어나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적용됐다. 지난해 9월에는 구리를 바탕으로 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낮은 온도에서
빛
을 잘 통과시키는 것을 발견해 이를 스마트 윈도우에 적용하는 방법을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역사상 인류의 삶을 증진시킨 소재들을 대부분 수많은 인고의 시간을 통해 ... ...
수성보다 더 가까운 태양의 '이웃' 2천만㎞ 접근 소행성 관측
연합뉴스
l
2021.08.24
은 태양
빛
에 가려있어 관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몰 직후나 동트기 전 어스름한
빛
에서만 제한적으로 관측이 가능해 지금까지 20개만 파악돼 있다. 셰퍼드 교수는 "지구 궤도 안쪽의 소행성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은 낮에 지구로 다가와 쉽게 발견되지 않는 천체를 포함해 지구 근접 소행성을 ... ...
1시간에 담수 1.6kg 생산…효율 90% 해수담수화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식수로 쓸 수 있다. 연구팀은 광 증기 증발기가 태양광을 잘 가둘 수 있도록 설계해
빛
흡수량을 최대화했고, 이를 이용해 바닷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게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치를 이용하면 태양광 흡수량이 늘어나 생산되는 담수 양도 10% 증가했다. 또 증발기에 쌓이는 염분의 양도 최소화해 ... ...
아이폰에 지문 인식 다시 생기나…코로나19가 바꾼 생체인식 시장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스마트폰을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서는 접촉이 필요 없는 안면 인식 기술이 대세다.
빛
의 양에 따라 동공이 축소되고 확장되는 고유한 홍채 패턴 변화를 이용한 홍채 인식 기술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지만 안면 인식보다는 속도가 더디다. 안면 인식 기술은 10여년 전 가시광선 대신 파장이 850~94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교수의 인터스텔라》,《아주 특별한 상대성이론 강의》, 《사이언스 브런치》,《
빛
의 속도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을 썼고 《최종이론의 꿈》, 《블랙홀 전쟁》, 《물리의 정석》 을 옮겼다. 한국일보에 《이종필의 제5원소》를 연재하고 있다. ... ...
'붉은행성' 화성 국지적 먼지폭풍도 고대 물 증발에 한몫
연합뉴스
l
2021.08.18
발생…MRO 등 위성 3대 동시 관측 입증 지난 2010년 11월 30일 포착한 것으로 왼쪽의 푸른
빛
이 도는 흰색은 수증기 구름이다. 왼쪽 상단으로 높이 21.9㎞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화산으로 알려진 올림푸스 몬스(Olympus Mons)가 포착돼 있다. [NASA/JPL-Caltech/MSS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붉은 행성' 화성은 ... ...
배경 따라 몸 색깔 바꾸는 카멜레온 로봇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카멜레온은 피부에 힘을 가하면 피부 맨 위 색소 결정의 격자구조가 바뀌며 특정 파장의
빛
만 반사해 몸 색을 바꾼다. 연구팀은 폴리머 필름과 온도에 반응하는 액정잉크, 다양한 패턴을 가진 은나노선 히터를 기반으로 카멜레온처럼 색을 바꾸는 은폐소자를 개발했다. 온도 감응 잉크는 온도에 따라 ... ...
극대기 이틀 넘겨 시간당 200개 넘게 쏟아진 페르세우스 유성우…천문학자들 "이례적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국가로 천문대에서조차 어두운 유성 관측이 어려워졌다"며 "한국은 도시지역에 대해서만
빛
공해를 관리하는데 어두운 지역에 대한 보호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
2021.08.17
적용한다는 ‘열린 마음’을 갖게 됐다. 덕분에 수십 년째 지지부진하던 mRNA 백신도
빛
을 보게 됐고 분자농업으로 만드는 식물유래 백신 역시 전망이 밝다. 분자농업의 가장 큰 장점은 빠른 시간 내에 의약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을 보면 먼저 단백질 약물 유전자를 담은 DNA 조각을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