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8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RNA 같은 유전물질을 단백질 껍질로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보니, 뼈나 잎맥 같은 단단한
부위
가 있어야만 만들어지는 화석이 남아있을 리가 없다. 그래도 최근 분자생물학과 유전자 분석 기술이 발전하면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과거를 일부 추적할 수 있게 됐다. 물론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포털(portal)’ 역할을 하는 ACE2 수용체에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결합
부위
(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 우리 몸이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변이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를 5배 증가시키고, 이 단백질이 ACE2와 결합할 때 관여하는
부위
(S1)의 이탈을 줄여 인체 세포 침투력을 높였다고 주장했다 ... ...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에 서판길 뇌연구원장
2020.07.01
연구에도 도움을 줬다. 서 원장은 “예를 들어 뇌에서 흥분성 시냅스(신경세포 접합
부위
)와 억제성 시냅스가 협력해 신호전달의 균형을 이루는데, 이 균형이 깨질 경우 조현병 등 정신질환이 일어난다”고 말했다. 2018년 말 부터 한국뇌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2019년 제10차 세계뇌신경과학총회(IBRO 20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의료원, 마다가스카르에 가상해부 시뮬레이터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판막 협착증 환자의 가슴을 열지 않는 시술법이다. 대퇴동맥을 통해 병든 대동맥 판막
부위
에 카테터 시스템으로 인공판막을 위치시킨 후 풍선이나 자가 확장 시스템을 통해 건강한 판막을 삽입한다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전문구 GIST 교수팀이 개발한 발열 확인 및 얼굴 동시 인식, 추적 기술 화면이다. 얼굴
부위
에서 발열이 감지되면 경고가 나온다. 개인 식별도 가능하다. 광주=윤신영 ... ...
임신 못하는 토끼, 자궁 세포치료 받고 새끼 낳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임신에 성공했다. 자궁을 관찰했더니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선 이식한
부위
와 그렇지 않은
부위
사이의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연구팀은 “재생 치료한 자궁이 임신 중에 팽창하며 발생하는 늘어남에도 문제없이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태어난 새끼의 크기와 체중도 모두 정상이었다. ... ...
"코로나19 감염되지 않은 일부 환자도 면역력 가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노출시켜 면역 반응을 살폈다. 항원결정기는 면역계가 항원의 존재를 알게 하는 특정한
부위
로 바이러스가 몸속에 들어왔다는 것을 면역세포가 알아차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쓰는 돌기(S)단백질이 대표적이다. 실험 결과 환자들은 모두 코로나19에 대응하는 ... ...
"코로나19 감염, 혈액형과 관련 없어" 대규모 게놈 연구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인간 남성 게놈(유전체)의 모습이다. 23쌍의 염색체로 이뤄져 있다. 코로나19 감염과 관련이 있는 염기서열 영역을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논란이 됐던 'ABO 혈액형' 결정 유전자가 위치한 염기서열 영역(9번 염색체 9q34.2)는 감염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점차 결론이 나고 있다. NIH 제 ... ...
땅위 인공태양 만들 한국산 조립장비 납품 모두 끝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조달해야 하는 품목이다. 조립장비는 ITER 장치 조달품 중 다른 부품들과 연결되는
부위
가 가장 많아 설계가 어렵고 제작 난이도도 높다. 한국은 모든 조립장비에 대해 ITER 국제기구에서 정한 품질 기준과 절차를 충족했다. 섹터인양장비는 프랑스 안전 규정에 맞춰 실제 하중의 1.5배인 2000t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