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이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특수
"(으)로 총 2,51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튼튼하기 때문에 환경정화용으로 인기가 높은 식물이다.노 박사팀이 선택한 포플러는
특수
한 품종이다. 봄이 되면 눈을 제대로 못뜰 정도로 날리는 솜(씨)을 만들어내지 않기 때문이다. 임업연구원은 10여년 간 전국 각지를 뒤져 이같은 불임성 포플러를 찾아냈다.노 박사팀은 식물 세포 배양을 통해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한해서 생육하는 식물 사문암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사문암지대에는
특수
한 식물이 생육하며 여기서 말하는 사문암이란 변질된 초염기성암 외에 감람암 등의 초염기성암 자체도 포함하는 광의의 것을 가리킨다 열대우림(熱帶雨林)기후와 스텝기후 사이에서 건계와 우계가 뚜렷한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각각 다른 수술대에 눕혀질 수 있었다. 심막의 일부분이 없어져 구멍이 뚫린 부분에는
특수
한 합성물질을 붙인 다음, 두 아이의 벌어져 있는 결합부위를 봉합했다. 국내 최초로 샴쌍둥이 분리 수술이 성공한 순간이었다.공유했던 심막을 가져간 아이의 총 수술시간은 2시간 55분이었고, 심막의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기능까지첨단도료에는
특수
한 화학물질을 첨가해 만든 종류뿐 아니라 고분자 자체에
특수
한 기능을 부여하는 도료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올해 초 대구지하철 참사 이후 상당한 주목을 받은 난연성 도료다. 여기서 난연성이란 말은 연소를 어렵게 하는 과정을 통해 화재 발생시 불이 확산되는 ... ...
5 햇빛 받으면 전기 발생시키는 염료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재료를 사용하는 실리콘 또는 III-V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는 고효율을 요구하는
특수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지만 저가의 보급형 태양전지의 개발은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환경문제와 에너지 고갈 차원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바로 유기물이 이 과제를 해결해줄 전망이다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등)가 항상 변하고 이에 따라 구름씨가 활성화되는 범위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수
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다양한 구름씨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실제로 구름씨의 적용은 구름에서 비가 내리는 2가지 과정에 따라 다르다. 구름입자가 빗방울이나 빙정으로 성장하는 강수 과정은 초등과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특수
액체를 집어넣어 기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사체를 냉동보존실로 옮긴 다음에는
특수
액체를 부동액으로 바꾼다. 부동액은 세포가 냉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며칠 뒤에 환자의 시체는 액체질소의 온도인 영하 1백96℃로 급속 냉각된다. 이제 환자는 탱크에 보관된 채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쉬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해 만든다. 기체가 스며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특수
용접 방법들도 개발됐다.현재 첨단 기술을 사용해 만들어낼 수 있는 최대 진공 상태는 1cm³당 단지 몇개의 입자를 포함하는 ${10}^{-16}$torr 정도라고 한다. 최근에는 진공기술이 단순히 용기 안의 기체 밀도를 ...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필요로 하는 것은 분자 사이에 인력이 있기 때문이다전기전도성(電氣傳導性)을 지니는
특수
유리 산화물계(酸化物系)와 칼코겐화물계의 유리가 있다 특히 칼코겐화물계 유리는 소다석회유리의 10억분의 1, 플린트유리의 1,000조분의 1 정도까지 있다이와 같은 차이는 전기전도가 보통의 절연성 유리는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기술로 얻을 수 있는 K단위의 극저온의 한계다. 이보다 더 낮은 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특수
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것이 ‘희석 냉동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K단위 극저온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극저온 냉동기에 서로 다른 두가지의 냉동 사이클을 조합한 하이브리드 사이클을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