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마스터] Mr. 퍼즐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논리적이지만 큰 그림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우뇌형은 직관적이고 전체를 볼 줄 아는 반면 논리적인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죠. 좌뇌형은 퍼즐을 풀면서 선택과 시행착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훈련시키고, 우뇌형은 자신의 풀이를 검토해보게 하면서 균형 잡힌 사고력을 기르도록 돕고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얼음 사이로 드러난 시체를 발견합니다. 깜짝 놀란 그들은 사고를 당한 등산 객을 발견한 줄 알고 양국의 경찰에 신고했어요. 그러나 조사가 진행되면서, 이 사체가 평범한 등산객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그는 패딩 재킷이 아니라 염소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송아지 가죽 허리띠를 두르고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라벨 제거 방식이 폐수 등 또 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공장 근로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강성규 가천대 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산이나 염기는 환경호르몬과 다르게 장기적으로 사용한다고 해서 만성적으로 독성을 유발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접촉으로 인한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준 왜소은하 데이터는 왜소은하를 찾는 딥러닝 알고리듬을 학습시키는 데도 큰 도움을 줄 거예요. 앞으로는 딥러닝 같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왜소은하를 찾게 될 텐데 딥러닝을 정교하게 학습시킬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이거든요. 외국 과학자들 중에는 왜소은하를 찾고 거기에 자신이 좋아하는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둔다면 계산이 훨씬 빨라지겠죠? 이 방식을 이용해 삼각형을 구성하는 수 데이터는 줄별로 T라는 목록에 담겨 있다고 하고 코드를 만들어볼게요. 주의해야 할 점이 컴퓨터에서는 0이 첫 번째고, 그다음 1이 두 번째를 뜻해요. 그래서 T 목록에서 위에서 2번째 줄, 1번째 숫자 ‘7’은 (1, 0)이어서 T[1][0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위치한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내기 위해서는 수천 만 원이 든다. 그래서 무조건 무게를 줄이는 게 유리하다. 며칠치 식량을 지고 행군해야 하는 군인의 전투식량도 마찬가지다. 동결건조 식품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라면의 건더기 수프나 물에 넣어 녹이는 인스턴트커피가 동결건조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소개해줄게. 양자컴퓨터의 압도적인 계산 능력은 우리 삶을 훨씬 편하게 만들어 줄 거야. 그런데 양자컴퓨터가 반드시 밝은 미래만 가져오는 건 아니야.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암호지. 암호는 태생적으로 계산량이 많아 슈퍼컴퓨터로도 풀 수 없어야 정보를 지킬 수 있는데, 양자컴퓨터가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1인 원이라고 생각하고 한번 직접 계산해보세요. 6개까지는 소시지 모양으로 길게 한 줄로 세우는 것이 가장 작은 면적을 갖고, 7개부터는 벌집 모양으로 둥글게 뭉쳐 배치하는 게 가장 작은 면적을 갖습니다. 100개, 1000개로 늘어나도 이 답은 변하지 않죠. 그렇다면 3차원 구는 어떨까요?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출리앳 연구원은 “지구 자기장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지면 선박 항해 등에 큰 영향을 줄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스토리 따라잡기 “아이고, 이걸 언제 다 치운담?”꿀록 탐정의 머리가 지끈거렸어요. 편히 쉬려 했는데 종일 집 청소만 하게 생겼으니 그럴 법도 하죠. 바닥을 치우던 개코 ...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척력에 의해 전자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힘이 중첩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 기타줄을 튕겼을 때처럼 소리가 나는 것이다. 에드워드 레어드 랭커스터대 물리학과 교수는 “무엇이 진동을 만드는지 알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작은 힘을 증폭시켜야 하는 현미경이나 양자유체의 점성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