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해를 구하기 위해 만든 것이거든요. 아시다시피 5차 이상의 방정식은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아요.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이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명했고, 그 과정에서 군 중에서도 조금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초반이니까 최석정이 살았을 때보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것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꾸준히 관심을 가졌습니다. 사전적으로는 우주의 모든 존재가 반복되고 계속 자기와 유사한 형태로 반복 된다는 뜻입니다. 니체가 푸앵카레를 만났을 때? 다시 니체가 살던 19세기 말로 다시 돌아올게요. 1889년 1월 21일은 당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이었던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들은 말한다. 인간은 자연을 소유한 존재가 아니며, 그저 스쳐 지나가는 하나의 존재일 뿐이라고. 인간은 자연을 소유할 권리도, 자원을 허투루 사용할 권리도 없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 세대에게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자연을 물려줘야 한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세대는 미래 세대에게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마지막 정리가 정수해를 가진다면 모듈러 곡선으로 표현할 수 없는 타원방정식이 존재한다는 것도 증명해야 했다. 이를 발견한 세르 교수가 엡실론 추측이라는 이름으로 문제제기를 했다. 이 문제를 리벳 교수가 해결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푸는 실마리를 제공한 것이다.이후 와일스 교수가 ...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교수는 “이 별 가까이에 백색왜성이나 중성자별, 블랙홀 등 쌍성을 이루는 별이 존재한다는 증거”라며 “별이 폭발할 때 방출된 입자의 상당수가 쌍둥이별의 중력에 이끌려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26/science.aas869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0년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구시스템 모델로 예상한 값은 실제 관측값과 오차가 존재합니다. 또한 북극해는 인류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는 지역이기 때문에 관측 자료가 부족해 오차를 수정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시스템 모델은 해양의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 및 영양염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상한 업적은 대부분 수상자 사이에 연구 협력이 있었거나 연구 사이에 연관성이 존재하는데, 올해 물리학상은 각자 다른 단독 연구로 공동 수상했다”며 “이렇게 단독 연구로 공동 수상한 사례는 최근 10년간 3건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올해와 비슷한 경우가 2015년 생리의학상이다. 당시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살펴보자. 창궐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픽션 사극으로, 조선에 ‘야귀(夜鬼)’라는 존재가 창궐하면서 일어난 사건을 다룬다. 영화에서 야귀는 원래 사람이었다가 괴물로 변한 것으로 묘사된다. 햇빛을 견디지 못해 밤에만 활동하며, 눈은 충혈 돼있고, 혈관이 도드라지며, 송곳니가 돋아 있는 ...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가 주인을 자꾸 물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교과서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동물과 사람 사이에는 ‘서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열은 자원이 한정돼 있을 때,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순서다. 먹을 것, 쉴 곳, 교미할 대상의 숫자가 한정적일 때 우선권을 가지는 것이다. 대개 그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힘이나 공격 행동을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제가 산업공학에 몸담은 지 35년이 됐는데, 아직도 스스 로에게 ‘산업공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요. 아마 평생 고민할 것 같아요.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문제 ... 어려운 결정입니다. 그럴 때 산업공학으로 눈을 돌려 보세요. 산업은 바뀌긴 하지만 늘 존재하는 것이 니까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