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많다.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과학기술자들의 요구와 연구수요를 생각해 계획을 다시
조
정할 생각”이라며 “가속기의 실제 건설 여부는 2012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백,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연구시설이니 효율적인 투자방법은 반드시 신중하게 논의해야 한다. 하지만 진정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작은 옹달샘과 마을 전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큰 규모의 옹달샘을 개발할 계획이다.
조
교수는 “앞으로도 깨끗한 물이 부족한 지역을 찾아 옹달샘을 보내거나 현지 마을에서 직접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3차원 형상 측정기 - 라이다와 레이저 스캐너알아서 길을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매력적이라면 필수요소 외에 다른 요소도 최대한 갖춰야 한다.주의할 점은 사랑이 이런
조
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자인 전중환 경희대 학부대학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했다.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볼 때 얼마든지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환경부에서 2009년 AI 매몰지의 세균 오염 상태를
조
사한 결과 대장균과 클로스트리디움 균, 바실러스 균이 관찰됐다. 환경부는 이들이 토양에도 일부 존재하는 세균들이며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 균이나 캄필로박터 균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먹였더니 미세교세포의 말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미국 다트머스대 의대
조
이스 드레오 교수팀도 쥐에게 항생제 ‘마이노사이클린’을 먹였더니 신경성 통증이 멈췄다고 발표했다. 마이노사이클린은 미세교세포가 애초에 입을 열지 못하게 막는 원리로 작용한다. ‘프로펜토필린’이라는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그러나 이 공정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여기저기 옮기는 과정에서 소자의 배열이
조
금이라도 흔들리면 반도체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 소자가 너무 얇아서 아예 웨이퍼에 달라붙어버리면 PDMS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➊ 플렉시블 전기전자 소재/소자 연구실에서 ... ...
π데이 즐기는 10가지 방법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9까지의 숫자에 각기 다른 색을 부여한 뒤, π의 자릿수에 해당하는 색이 칠해진 구슬이나
조
각을 끼운 목걸이를 만드는 행사도 열 수 있다.이처럼 π의 원리와 개념, 역사를 기본으로 하고 행사로서 의미를 살릴 수 있는 아이디어를 활용하면 된다. 이 중 하나만 해도 파이의 날 행사로는 충분하다.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다면, 백혈병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하는 것쯤은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암에 걸린
조
직을 내 유전자를 지닌 똑같은 새 것으로 바꾸면 되니 말이다.21세기 의학계에는 그런 꿈 같은 일이 현실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펼쳐졌다. 바로 ‘줄기세포’ 덕분이다. 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여러 가지 체세포로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가뭄을 유발하기 때문에 ENMOD에 위배된다.18 서모스탯(온도를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조
절하는 장치)만일 지구공학을 실시한다 해도 모든 나라가 결과에 만족할 수는 없다. 러시아는 따뜻한 기후를 원하고 인도는 시원한 기후를 원할 수도 있다. 지구공학은 다른 나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역 기후만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무런 지장이 없다. 중성미자는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1초에 수백
조
개의 중성미자가 우리 몸을 통과하지만 평생 동안 한개가 반응을 할까 말까 한다. 1광년 두께의 강철이 있다고 해도 중성미자는 대부분 쉽게 통과한다. 그래도 아주 드물게 중성미자가 물질과 충돌하기도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